문성요 차장 |
2007년 건설사업 착공 초기에는 넓은 농경지와 구릉지가 펼쳐져 있고 근교에 복숭아를 살 수 있는 과수원이 익숙한 모습이었다. 2012년 중앙행정기관 이전 시점에는 정부세종청사를 제외하고 교통, 문화, 교육, 여가 등 기반시설 인프라가 부족했다.
2021년 현재의 행복도시는 허허벌판이던 과거의 모습과 크게 달라졌다.
정부세종청사가 들어서 중앙행정기관 및 국책연구기관이 차질없이 이전했으며, 행복도시 내·외부를 통하는 도로와 충청권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광역도로가 개통돼 교통이 편리해졌다.
세종호수공원, 국립세종도서관, 국립세종수목원 등이 차례로 자리하면서 시민 삶의 만족도도 더욱 높이고 있다.
최근에는 국회의사당 분원을 품게 되면서 행정수도 완성에 한 걸음 다가가게 됐다.
2011년 말 875명이던 행복도시의 인구가 10년이 지난 올해 10월 말 기준으로는 28만여 명으로 증가하는 등 한층 양적으로도 성장했다는 걸 보여준다.
행복도시 건설의 성공 요인에는 특히 도시건설 전체를 총괄하고 조정하는 '종합사업관리(Program Management)'의 숨은 노력이 있다.
'건설사업관리'가 단일 공사의 시공에 초점을 둔다면 '종합사업관리'는 다양한 사업 주체가 참여하고 다수의 공사를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는 도시건설 환경에서 전체 사업의 방향성에 맞춰 원활하게 사업이 진행되도록 관리하는 건설관리기법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하 행복청)은 체계적인 도시건설 관리를 위해 종합사업관리를 도시건설 초기인 2007년부터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도시 전체의 큰 틀에서 주요 사업 추진현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해 개별사업 간 간섭사항을 조정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사업 간 연계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공정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구체적인 사례로는 행복도시를 관통하는 송전철탑의 지중화 사업이 있다. 한국전력공사의 송전선로 지중화 작업을 위한 전력구 설치일정과 한국토지주택공사의 부지조성 개발일정이 서로 간섭이 일어나면서 공동주택용지 공급일정 지연이 예상되기도 했던 사업이다.
이를 종합사업관리회의를 통해 행복청은 도로 선형을 조기에 확정 짓고, 한국전력공사는 전력구 노선 및 시공공법을 변경했다. 또 한국토지주택공사는 부지조성공사를 조기 착공할 수 있도록 협의했다.
행복청과 한국전력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가 개별 기관별로 추진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재굴착을 방지했고, 당초 계획대로 공동주택 용지를 적기 공급할 수 있게 됐다.
그 외에도 세종오송로와 5생활권 외곽순환도로 연결방안, 개교예정 학교 주변 기반시설 점검, 도시상징광장 조성일정 검토 등 약 480건을 주제로 검토해 사업일정 조정은 물론이고 시공품질을 향상하게 시키고 주민의 불편 없이 편의 개선에 이바지했다.
행복도시 건설사업은 도시기반 성숙을 위한 2단계 건설(2016년~2020년)을 마무리하고 도시 완성을 위한 3단계(2021년~2030년)에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전환점을 맞아 행복청을 친환경 탄소 중립의 도시로 건설하고, 국회의사당 건립, 제4차 국가철도망계획, 광역교통망계획 등 국가정책 변화를 반영한 중·장기 사업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중점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을 세우고 있다.
도시건설의 경험과 핵심 노하우를 축적하고 발전시켜 국가의 균형발전을 선도하는 행복도시가 성공적인 도시건설 사례로 기록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
/문성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