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수도 특별법 제정 등 여전히 갈 길이 멀지만, 연구개발(R&D)과 4차산업 분야의 굵직한 현안에 물꼬가 트였다는 점에서 내년도 국비 확보는 성공적이라는 평가다.
대전시 발표에 따르면 2022년도 국비 가운데 과학분야는 괄목한 성과를 보였다. 확보한 예산 규모를 떠나 과학수도를 완성하기 위해 현시점에서 선도해야 할 사업들이 다수 확정됐기 때문이다.
가장 많은 예산을 확보한 사업은 태양광 기업공동 활용연구센터 구축으로 총 145억5000만원이 반영됐다. 4년마다 열리는 '2026년 세계태양광학술대회(WCPEC-9)' 개최도시로 이름을 올린 만큼 태양광 연구센터 건립은 미래 에너지 확보와 학술대회 최종 유치 등에 있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해외 수소기반 대중교통 인프라 기술 개발사업에는 43억원, 유전자 기반 항체 신속제조 지원센터 구축은 36억3000만원이다. 태양광을 비롯해 수소, 유전자 등 미래 먹거리 기반이 될 과학산업이 대전에 둥지를 튼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국비 확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대전시 관계자는 "과학 분야에서는 대전시가 원하는 사업들이 다 반영이 됐다"라면서 "국비 반영을 잘 활용해 좋은 사업으로 키워내야 한다"고 설명했다.
마중물플라자 조성사업 50억, 스마트 헬스케어 VR기반 구축사업 10억이 편성됐다. IoT센서 신뢰성평가 및 제품화 지원사업 50억, 스마트 공장 보급확산 지원 49억, 데이터 안심구역 11억9000만원, 대전·세종 첨단신기술 실증단지 조성 용역비 3억 원도 과학 기반 분야로 분류된다.
다만 대선공약으로 제안한 '항공우주청' 관련해서는 내후년 국비 확보 도전을 시사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항공우주청 관련 용역에 착수한 것은 맞다. 다만 우주산업에 역량을 모으고 항공우주청이 만들어졌을 때 대전이 적지라는 근거를 만들기 위한 용역"이라며 "내년 추경쯤 우주산업 측면에서 대전의 주력 산업으로 편성하기 위한 별도의 용역에도 착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항공우주청의 경우 지자체가 아닌 정부가 주도할 수밖에 없는 분야라는 점에서 국비 편성을 위한 사업을 구체화해야 하는 난제가 있다. 다만 대전시는 국가사업에 지역 현안을 실현할 기회를 준비하는 입장에서 역량 결집을 위한 준비 기반을 마련에 집중할 전망이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