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
17개 시도마다 생활체육지도자의 임금 체계가 다른 가운데, 대전시가 아직까지도 정확한 가이드라인을 만들지 않고 있어 대전시의 소극행정이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2일 지역 체육계에 따르면 정부의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지침에 따라 지난 8월 5개 자치구 소속 104명의 생활체육지도자들이 정규직으로 전환됐다.
문제는 급여체계 수당 등 처우 개선과 관련된 사항이 여전히 결정되지 않아 '무늬만 정규직 전환'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는 점이다.
타 시도가 발빠르게 정규직 전환 이후 처우 개선에 나선 반면, 대전의 경우 평균 최저 생활 임금과 비교해도 생활체육지도자들의 임금은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인천시가 지도자들과 6번의 대규모 회의와 논의를 통해 9급 5호봉에 맞는 처우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제주, 경기, 광주 등 다른 지역도 최적의 방법을 찾기 위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반면, 대전은 지역 생활체육 지도자들은 시에 호봉제 도입, 초과근무 수당, 명절 수당 등 정확한 임금 체계가 필요하다고 수차례 요청했으나 정확한 해결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체육계는 정규직 전환을 실행한 17개 시·도마다 원하는 임금 체계가 다른 만큼 문화체육관광부의 동일한 임금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역의 한 생활체육 지도자는 "정규직 전환 이후 달라진 점이 전혀 없어 여전히 열악한 환경 속에서 근무하고 있다"며 "여러 번 문의를 했으나 대전시는 본인 소관이 아닌 문화체육부의 정확한 지시가 있어야 한다며 미지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토로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문화체육관광부에게 계속해서 정확한 임금 체계를 만들어 달라고 계속해서 요청하고 있고, 타 지역도 함께 목소리를 내야 빠른 시일 내에 정확한 체계가 잡힐 것"이라고 말했다.
시 체육진흥과 관계자는 "현재 2차례 정도 생활체육 지도자들과 내부 회의를 했다"라며 "10월 25일 17개 시도 관계자들과 문체부가 참석했던 간담회에서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의견 제시는 한 상태다. 다만 여러 시도의 의견이 필요한 만큼 빠른 시일 내에 결정될 것 같지는 않다"라고 말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