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사는 늘 유럽중심의 역사였으며, 귀족 중심의 정복의 역사다.
하지만 그 시절 민중의 삶은 계속됐고, 육지가 아닌 바다위에서의 시간도 여전히 흘렀다.
그동안 우리가 배웠던 지난 시간을 한 발치 비켜 다른 시각으로 본 두 권의 역사서가 나왔다.
그동안 그저 미학적이고 감성적인 관조의 공간이었던 바다를 역사의 중심으로 놓은 '대서양의 무법자'(마커스 레디커 지음, 박지순 옮김, 갈무리 펴냄, 304쪽)가 유럽 중심의 역사에서 시각을 돌려 혁명과 노예제도의 폐지와 같은 역사적 변곡점이 선원에게 비롯됐다고 주장하고 있다면, '흔들림 없는 역사 인식'은 (다카자네 야스노리 지음, 전은옥 옮김, 삶창 펴냄, 288쪽) 일본의 패망과 함께 묻혀버린 조선인 원폭 피해자에 대한 일본 지식층의 시각에 통해 우리의 역사 역시 주류 중심으로 이뤄져 왔음을 날카롭게 지적한다.
▲그들의 생존법, 그들의 역사....대서양의 무법자='대서양의 무법자'는 그동안 해군대장, 상인, 국민 국가의 중심의 육지중심주의 관점이 아닌 선원과 노예, 계약하인, 해적, 그리고 다른 여러 무법자의 시점에서 17세기 후반에서 19세기 후반까지의 해상 모험세계를 담고 있다. 저자 마커스 레이커는 소위 무법자들로 불리는 이 다민족 부대가 미국 혁명의 원동력이자, 노예 해방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그동안 육지 중심의 역사에서 바다는 그저 '텅 빈 공간'이자 '미학적 공간으로서'의 아무것도 없는 공간으로 인식해 왔다면 저자는 런던항의 선원들이 임금삭감에 대한 집단 항의의 표시로 함선에서 함선으로 옮겨 다니며 돛을 내린 것(strike)이 '파업'의 탄생이었으며, 심해 범선의 선원들이 전 세계적 의사소통의 매개체라고 봤다. 또 이 다민족선원이 대서양과 카리브해를 누비며 대서양 전역에서 민주주의와 평등적 사고를 형성하고, 아메리카 혁명과 노예제도의 폐지에도 크게 기여했다고 말한다.
아래로부터의 역사적 관점에서 세계사를 써나가고 있는 레이커는 선원이 단순히 하급 계층이 아니라 세계 역사의 매개체로 보고, 철학과 정치적 사고, 역사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데 초점을 맞췄다.
▲잊혀진 그들....흔들림없는 역사 인식=일본 지식인의 양심으로 한일 과거사를 주장해왔던 다카자네 야스노리의 유고집이 발간됐다. 다카자네는 생전 "일본인 피폭자는 침략 전쟁을 자행한 국가의 국민이라는 입장을 비껴갈수 없지만, 조선인 피폭자는 아무런 전쟁책임도 없는데 원폭 지옥에까지 내던져진 완전한 피해자"라고 말해왔다.
일본의 양심으로 불리는 다카자네는 조선인의 원폭피해는 강제연행으로 인한 결과였음을 거듭 지적하고, 강제연행과 원폭 피해 문제에만 국한하지 않고 조선인 위안부 문제와 일제가 저지른 난징 대학살 등의 일본의 몰역사적인 태도를 비판한다.
2017년 고인이 된 다카자테가 발표한 논문들과 짧은글, 일생의 작업이라 할수 있는 조선인, 중국인 강제 연행 등의 생전 다카자네의 글들을 담았다.
해방후 제대로된 일본 흔적 지우기도 없었지만, 독립운동가나 강제 동원에 대한 조명도 없었던 우리에게 일본인 양심의 울림이 큰 이유다.
오희룡 기자 huily@
*'올랑올랑'은 '가슴이 설레서 두근거린다'는 뜻의 순 우리말입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