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난한 식탁 : 저는 채식주의자입니다] 동물을 좋아해서 동물원 간다구요?

  • 경제/과학
  • 유통/쇼핑

[유난한 식탁 : 저는 채식주의자입니다] 동물을 좋아해서 동물원 간다구요?

  • 승인 2021-12-02 14:21
  • 수정 2021-12-02 14:31
  • 신문게재 2021-12-03 10면
  • 이유나 기자이유나 기자

컷-비건







동물원·아쿠아리움·야생동물 카페는 '학대'

'좋아한다' 의미 되돌아봐야…

 

KakaoTalk_20211129_135556684
대전의 한 앵무새카페.


"식물을 좋아하는 마음을 앞세우기보다 식물과 그들이 속한 생태계의 안녕을 빌어주는 것, 그리고 그들의 행복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알아보고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것, 과연 무엇이 식물이 행복해지는 길인지 묻고 그 길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지 지속적으로 탐구하는 것." 식물세밀화가 이소영 작가는 책 '식물과 나'에서 식물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식물을 무단채취하는 사례가 많다며 학습을 통해 '제대로' 좋아할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

동물을 좋아하는 우리의 문화는 올바른 방법인지 묻고 싶다. 동물을 좋아한다며 동물원·아쿠아리움·야생동물 카페에 그들을 가둬놓고 전시·유흥을 위해 소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전의 앵무새 카페에 직접 방문해봤다. 앵무새들은 좁은 철장에 갇혀 있고 손님이 원할 때만 나올 수 있었다. 몸집이 제법 큰 한 커다란 앵무새는 부리로 종일 철장을 뜯고 있었다. 오픈 시각에 맞춰서 한 부자가 손을 잡고 앵무새 카페에 방문했다. 교육을 위해 자녀와 야생동물카페에 가는 부모들이 많다. 하지만 동물과 교감하는 방법보단 마음대로 소비하는 방법을 가르칠 뿐이다. 동물이 좁은 공간에 밀집 사육되고 인간과 접촉하며 인수공통감염병이 발생하는 위험도 제기되고 있다.



KakaoTalk_20211129_135849684
대전의 한 동물원.
2018년 오월드에서 퓨마가 탈출하며 동물복지 문제가 제기됐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동물을 가둬놓고 소비하고 있었다. 오월드에서 동물이 탈출한 일은 퓨마뿐만이 아니다. 2002년 개원 당시 사바나 원숭이가 탈출했고, 2008년에는 열대지방에 사는 왈라루가 온실 사육장을 탈출해 인근 산에서 얼어 죽은 채 발견됐다. 같은 해에는 재규어가 탈출을 시도했다가 포획됐다. 동정여론은 잠시 어린 자녀와 함께한 가족들 다수가 동물원을 찾았다. 기자가 직접 동물원을 방문해보니 우리 안에 있는 일부 동물들은 무기력하게 누워있거나 좁은 공간에서 빙글빙글 돌고 있었다. 한 자리를 맴돌거나 같은 지점을 계속 왔다 갔다 하는 반복 행동, 자신의 배설물을 먹거나 털을 뽑는 등의 자기 학대 행위, 온 종일 누워서 잠만 자는 무기력한 행동은 동물원이라는 공간이 낳은 이상행동으로, '정형행동(stereotyped behaviour)'이라고 한다.

KakaoTalk_20211129_135617757
대전 신세계 백화점 아쿠아리움.
지난해 사람과 동물 모두가 행복한 동물원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제1차 동물원 관리 종합계획이 발표됐다. 주요 내용은 동물원 등록제를 허가제로 전환, 야생동물카페 등 전면금지, 질병·공중보건, 안전관리 체계 구축, 생물 다양성 보전·연구·교육 기관의 역할 강화, 동물 사육·수의 이력 전산화·공유, 국내외 협력 강화 및 거점동물원 구축·운영이다.

동물권 행동단체 카라는 "좁고 열악한 사육환경 뿐 아니라 스스로의 의지로 쉬거나 사람의 손길을 피할 공간조차 주어지지 않아 동물은 극심한 스트레스에 노출된다"라며 "이로 인해 정형행동이나 자해 등 정신적 질환을 보이는 개체가 많은 것은 당연하다"이라고 했다. 이어 "누구나 돈만 내면 생명을 내 마음대로 만지고 관찰할 수 있는 경험을 한 아이들이 생명을 존중하는 가치관을 가질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3.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4.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5.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1.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2.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3.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4.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5.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헤드라인 뉴스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의과대학 학생들이 집단휴학을 철회하고 학교에 복학을 신청하면서 의학교육이 1년 만에 기지개를 켜고 있다. 교육부는 학생들이 실제 수업에 참여하는지 살펴보고 복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고 밝혀 이번 주 의대정원을 증원 전으로 돌리느냐 중요한 시간이 될 전망이다. 정부가 정한 의대생 복귀 시한인 31일 전국 대다수 의대가 등록을 마감한 가운데 대전과 충남·북의 의대에서도 대체로 학생들이 복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충남대 의대는 3월 30일 복학 신청 접수를 마감했으나 몇 명의 학생들이 복학했는지 아직 공표하지 않고 있다. 당초 2월 2..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소비자 물가가 고공행진하고 있다. 식품·외식업계 가격 인상이 계속되면서 케이크 가격도 4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월 31일 해당 업계에 따르면, 투썸플레이스는 최근 커피와 음료, 케이크 가격을 올렸다. 케이크 가격은 2000원 올리고 조각 케이크는 400원 인상했다. 이에 따라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스초생)은 3만 7000원에서 3만 9000원이 됐다. 스초생 2단 제품은 4만 8000원이다. 딸기 생크림은 3만 6000원이고 클래식 가토 쇼콜라 가격은 4만원이다. 조각 케이크는 생딸기 우유 생크림은 9500원으로 1..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탄소 중립을 위한 대표적 교통수단인 자전거 이용을 높이기 위해 대전시가 '자전거 고속도로망' 구축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0년간 자전거 도로는 크게 증가했지만, 단절 구간이 많아 교통 분담률이 크게 늘지 않았는데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31일 대전세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대전시 자전거 고속도로 도입을 위한 기본구상 연구' 보고서를 보면 대전의 자전거도로 총연장은 2023년 기준 937㎞로 2010년 586.9㎞ 보다 60% 가까이 증가했다. 하지만, 자전거 분담률은 1.85%(2021년 기준)로 여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3색의 봄 3색의 봄

  •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