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광 소장 |
기다리는 것이 싫어서 지금껏 복권을 사보지도 않았는데, 이제는 일부러 며칠이나 몇 달을 내버려 둘만큼 여유가 생겼나 보다. 하루하루를 설레며 기다려야지 - 붉은색, 노란색, 보라색 꽃들이 파란 하늘 속 하얀 뭉게구름과 어우러질 5월의 멋진 어느 날을 고대하며.
그러나 산비탈 맨땅에 심은 튤립 구근은 안타깝게도 껍질이 까진 양파처럼 창백하게 하얀 알몸으로 겨우 10㎝의 흙 이불을 덮고 한겨울 삭풍을 견뎌야 한단다. 안쓰러운 마음에 거실 화분에 심으면 어떨까 하고 생각했었는데, 그러면 꽃을 피울 수 없다.
많은 식물이 혹독하게 추운 겨울을 보내야 다음 해 봄에 꽃을 피울 수 있다. 대표적인 식물이 겨울 보리다. 겨울 보리를 따뜻한 온실에서 계속 키우면 아예 꽃이 피지 않는다. 꽃이 피지 않으니 당연히 보리 알곡도 얻지 못한다.
개나리, 진달래, 매화 등 이른 봄에 피는 꽃들은 잎이 나기도 전에 꽃이 피는데, 사실은 지난해 늦가을에 만들어 둔 꽃봉오리에서 꽃이 피는 것이다. 여름이 지나고 낮이 짧아지면 식물의 일부가 꽃눈으로 분화하는데, 이 꽃눈 조직은 가을까지 자라다가 날씨가 차고 건조해지면 개화를 억제하는 유전자가 발현하여 휴면기에 접어든다. 그런데 일정 시간 추위에 노출되면 이 유전자 발현 시계의 스위치가 꺼지고, 식물은 잠에서 깨어나 꽃을 피우게 된다.
그러나 잠시 추위에 노출되었다고 꽃을 피우는 것이 아니라 추위의 총량, 즉 냉각량이 채워져야 한다. 겨울이 깊어지고 이 냉각량이 채워지면 식물은 마침내 잠에서 깨어나는데, 추위가 아직 남아 있으면 겉으로는 잠을 계속 자는 것처럼 보이는 강제휴면 상태에 있게 된다. 드디어 봄이 되어 따뜻한 온도에 일정 시간 노출되면 이 시계의 스위치가 작동하여 휴면상태가 해제되고, 꽃을 피운다.
인간의 세상살이 시간도 코로나19 팬데믹 와중에도 어김없이 흐른다. 식물이 매년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어 성장하는 것처럼 인간도 매해 열매를 맺고, 이 결실이 쌓여야 발전한다. 그런데 어느 날 불쑥 찾아온 코로나의 겨울은 언제 끝날지 기약도 없어서 열매를 맺기는커녕 하루하루를 버티기조차 힘들다.
모두가 어려운 시기이지만, 특히 한창 자라나는 청소년들은 처음 겪는 일이라서 더욱 힘들다. 청소년기에 닥치는 첫 번째 시련은 얼마 전에 끝난 수능이다. 예전에 학생들은 가끔 "교과서만 공부했는데, 만점을 받았어요."라는 재수 없는 녀석 인터뷰 때문에 복장이 터졌었는데, 요즘은 "그러다가 인서울 대학이나 가겠어?"라는 엄마의 말에 더 좌절한다. 특히 올해처럼 ‘불수능’인 해에는 아직 점수도 안 받았지만, 자꾸 틀린 문제들만 생각나서 불안할 수밖에 없다. 중요한 논술과 면접이 남았는데도, 패닉 상태가 되어 정말로 한해 농사를 망쳐버릴 수 있다.
지금은 캥거루처럼 부모의 품속을 파고드는 아이를 꼭 안아주고 다독여 주는 것밖에는 할 수 있는 일이 없다. 가만히 지켜봐 주면 며칠 뒤 아이는 스스로 떨쳐내고 다시 집중한다. 인생의 긴 여정에서 이런 일은 수도 없이 일어난다고 자신의 실패담을 솔직하게 들려주는 부모가 더 부모답다. 이런 가정의 아이는 겨우 첫 번째 추위에 놀라서 포기하지 않고, 참고 견뎌낸다. 그리고 늦어도 자신의 시계에 맞춰 꽃을 피운다.
식물들이 꽃을 피우기 위한 냉각량은 개나리 -90, 벚꽃 -100과 같이 서로 달라서 개화 시기도 각기 다르다. 사람도 누구는 빨리 열매를 맺어 좋은 대학에 가고 취업도 쉽게 하지만, 어떤 이는 더 오랜 시간 추위를 견뎌야 결실을 본다. 성급하게 재촉하여 너무 일찍 꽃망울이 터지면 추위를 이겨내지 못하고 얼어 버릴 수 있다.
주어진 추위의 총량을 겪어야 꽃이 피는 것은 운명이다. 다그치는 부모보다는 스스로 꽃눈을 틔우고 열심히 자양분을 모아서 모진 겨울을 견뎌낼 수 있도록 아이의 ‘깐부’가 되어주자. 벌써 활짝 핀 꽃밭에서 뛰어노는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양성광 혁신과경제연구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