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키호테 世窓密視] '서거'와 '사망'의 천양지차

  • 오피니언
  • 여론광장

[홍키호테 世窓密視] '서거'와 '사망'의 천양지차

어떤 당위성의 발견

  • 승인 2021-11-27 21:13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11·12대 대통령을 지낸 전두환 전 대통령이 11월 23일 '사망'했다. 전직 대통령이었으므로 '사망' 대신 '서거'라는 표현이 맞았을 터였다. 하지만 그에겐 그마저 사치가 되고 말았다.

새삼 권불십년화무십일홍(權不十年花無十日紅)이란 표현이 낯설지 않다. 전미경이 부른 가요에 <장녹수>가 있다. 그런데 곡조가 자못 애처롭다.

= "가는 세월 바람 타고 흘러가는 저 구름아 수많은 사연 담아 가는 곳이 어드메냐 구중궁궐 처마 끝에 한 맺힌 매듭 엮어 눈물 강 건너서 높은 뜻 걸었더니 부귀도 영화도 구름인 양 간 곳 없고 어이타 녹수는 청산에 홀로 우는가" =

장녹수(張綠水)가 누구였던가? 폭군 연산군의 마음을 뒤흔들었던 여인이다. 장녹수는 흥청(興淸)이라는 기생 출신에서 일약 후궁의 지위에까지 올랐다. 연산군 시대의 신데렐라였던 셈이다.



서른 살 나이에도 고작 16살 꽃다운 여인으로 보였다는 동안(童顔)의 장녹수는 자식을 둔 후에도 춤과 노래를 배워 기생의 길로 나섰다. 궁중으로 뽑혀 들어와서는 연산군의 총애를 한 몸에 받아 단숨에 후궁이 되었다.

후궁이 된 장녹수는 연산군의 음탕한 삶과 비뚤어진 욕망을 부추기며 자신의 욕망을 채워나갔다. 그녀는 무수한 금은보화와 전택(田宅) 등을 하사받았고, 연산군의 총애를 발판 삼아 정치를 좌지우지하였다.

모든 상과 벌이 그녀의 입에서 나온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그러나 1506년 중종반정 후 장녹수는 반정 세력에 의해 제거 대상 1호로 떠올랐고, 참형으로 삶을 마감하였다. 참형(斬刑)은 목을 베어 죽임을 일컫는다.

비참한 최후다. 참형이든 자연사든 사람은 생로병사(生老病死)의 수순에 의해 언젠가는 반드시 죽는다. 그런데 죽음을 뜻하는 표현은 의외로 많다.

먼저, 서거(逝去)는 자신보다 높은 사람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인데 주로 대통령이나 국무총리의 경우에 사용된다. 붕어(崩御)는 과거 황제나 황후의 죽음을 높여 이르던 말이었다.

훙서(薨逝)는 왕, 왕비 또는 황태자, 황태자비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이고, 승하(昇遐)는 군주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이다. 선종(善終)은 천주교회에서 신자의 죽음을 이르는 말이며, 입적(入寂)은 불교에서 승려(비구, 비구니)의 죽음을 뜻한다.

소천(召天)은 하늘의 부름을 받음을 뜻하며 개신교에서 주로 사용한다. 열반(涅槃)은 불교에서 부처의 죽음을 이르며, 순국(殉國)은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친 사람들의 죽음을 높이는 뜻이다.

순교(殉敎)는 자신의 종교를 위해 목숨을 바친 사람들의 죽음을 높여 부르는 말이고, 순직(殉職)은 자신의 직책을 다하다 목숨을 바친 사람들의 죽음인데 주로 공직에 근무하는 사람의 경우에 부합된다.

전사(戰死)는 전쟁에서 싸우다 죽음으로 군인의 명예와 연결된다. 장삼이사(張三李四)의 죽음은 통상 임종(臨終), 작고(作故), 별세(別世), 타계(他界), 사망(死亡)으로 통칭한다.

한때 나는 새도 떨어뜨렸던 막강 권력의 소유자가 바로 전두환 전 대통령이었다. 역대 어느 대통령치고 공과(功過)가 없을 리 없다.

그렇지만 전두환 전 대통령에겐 5·18 민주화 항쟁 희생자 유가족들의 처절한 상처와 아픔에 대한 진정한 사과는커녕 "내 재산은 예금 29만 원뿐"이라며 1997년 대법원에서 확정된 추징금 2205억 원에 대한 면피 어록으로도 국민적 반감이 여전히 상당한 인물이었다.

취재 목적으로 대전현충원을 자주 찾는다. 국립현충원에 잠들어야 마땅했을 '서거한' 전직 대통령이 그러나 '사망함'에 따라 조촐한 가족장으로 치러지게 되었다.

이런 현실에서 새삼 현직에 있을 적의 멸사봉공과 헌법의 철저 준수, 국가 보위, 국민의 자유와 복리의 증진, 대통령으로서의 성실한 직책 수행이라는 당위성을 발견하게 된다.

홍경석 / 작가·'초경서반' 저자

2021051301000775300030521
* 홍경석 작가의 칼럼 '홍키호테 世窓密視(세창밀시)'를 매주 중도일보 인터넷판에 연재한다. '世窓密視(세창밀시)'는 '세상을 세밀하게 본다'는 뜻을 담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백석대·백석문화대, '2024 백석 사랑 나눔 대축제' 개최
  2. 남서울대 ㈜티엔에이치텍, '2024년 창업 인큐베이팅 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3. 한기대 생협, 전국 대학생 131명에 '간식 꾸러미' 제공
  4. 단국대학교병원 단우회, (재)천안시복지재단 1000만원 후원
  5. 남서울대, 청주맹학교에 3D 촉지도 기증
  1. 1기 신도시 첫 선도지구 공개 임박…지방은 기대 반 우려 반
  2. 올해 대전 분양시장 지형도 도안신도시 변화
  3. "전국 검객들 한 자리에"… 2024 대전시장기 펜싱대회 성료
  4.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연내 착공 눈앞.. 행정절차 마무리
  5. "전국 검객들 한 자리에"… 2024 대전시장기 펜싱대회 성료

헤드라인 뉴스


AI디지털교과서 논란 지속, 교사들 "AIDT 사용 거부" 선언까지

AI디지털교과서 논란 지속, 교사들 "AIDT 사용 거부" 선언까지

2025년 3월 일부 학년과 과목에 도입될 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AI디지털교과서·이하AIDT)를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번엔 교사들이 AIDT 사용을 거부하고 나섰다. 11월 29일 교육부의 AIDT 채택을 앞두고 정책에 대한 불만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19일 AIDT 거부 교사 선언을 천명하고 12월 3일까지 서명을 받는다. 시작 이틀 만에 5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전해진다. 전교조는 AIDT 도입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지 않은 상황에서 2025년 정책이 시작되는 데 반대하며 사용 거부, 채..

[드림인대전]생존 수영 배우다 국가대표까지… 대전체고 김도연 선수
[드림인대전]생존 수영 배우다 국가대표까지… 대전체고 김도연 선수

"생존 수영 배우러 갔다가 수영의 매력에 빠졌어요." 접영 청소년 국가대표 김도연(대전체고)선수에게 수영은 운명처럼 찾아 왔다. 친구와 함께 생존수영을 배우러 간 수영장에서 뜻밖의 재능을 발견했고 초등학교 4학년부터 본격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김 선수의 주 종목은 접영이다. 선수 본인은 종목보다 수영 자체가 좋았지만 수영하는 폼을 본 지도자들 모두 접영을 추천했다. 올 10월 경남에서 열린 105회 전국체전에서 김도연 선수는 여고부 접영 200m에서 금메달, 100m 은메달, 혼계영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무려 3개의..

[현장]구청·경찰 합동 쓰레기집 청소… 일부만 치웠는데 21톤 쏟아져
[현장]구청·경찰 합동 쓰레기집 청소… 일부만 치웠는데 21톤 쏟아져

<속보>="내 나름대로 노아의 방주 같아…'나는 자연인이다' 이런 식으로, 환경이 다른 사람하고 떨어져서 살고 싶어서 그런 거 같아요." 22일 오전 10시께 대전 중구 산성동에서 3층 높이 폐기물을 쌓아온 집 주인 김모(60대) 씨는 버려진 물건을 모은 이유를 묻자 이같이 대답했다. 이날 동네 주민들의 오랜 골칫거리였던 쓰레기 성이 드디어 무너졌다. <중도일보 11월 13일 6면 보도> 70평(231.4㎡)에 달하는 3층 규모 주택에 쌓인 거대한 쓰레기 더미를 청소하는 날. 청소를 위해 중구청 환경과, 공무원노동조합, 산성동 자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롯데백화점 대전점, ‘퍼피 해피니스’ 팝업스토어 진행 롯데백화점 대전점, ‘퍼피 해피니스’ 팝업스토어 진행

  •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