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괴정중 박찬영 교사 |
*****
마음의 색맹
수업을 한다 // 색맹을 얘기하고 / 유전자를 말하고 / 가계도를 칠판에 그려낸다 // 아이들은 듣는다 / 푸른빛 마음으로 / 분홍빛 마음으로 / 회색빛 마음으로 // 나는 바라본다 / 각기 다른 빛깔의 마음으로 // 어디를 바라보고 / 무엇을 바라보고 / 누구를 바라보고 수업한 것일까? / 나는 // 누구를 바라보고 / 무엇을 듣고 / 어떤 것을 느끼며 앉아있는 것일까? / 아이들은 // 마주 서 있다고 / 서로를 보는 것은 아니다 // 마음의 색을 보지 못하는 나는 / 마음에 대한 색맹일지도 모른다
*… 견디기 힘든 것은… 삶과 죽음을 생각하는 영혼을 보지도 못하고. 그 앞에 서 있었는데도 이미 그 존재 앞에서 한 줄기 희망의 빛조차 되어주지 못했었다는 거지… 알아볼 수 있었다면… 따스한 말 한 마디 안겨주었더라면… 달라질 수도 있지 않았을까… 때늦은 후회를 해 본다는 거지… 인생이라는 것이… 그래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갈 만하는 것을 말하고 있고, 말해야하는 위치에 있는 이 순간에… 인생 참 허망하다… 라는 느낌을 안고 있다는 거지… 이제는 어깨를 눌렀던 그 짐을 툭툭 털어내고 날아가기를… 하늘로 올라 별이 되기를…
*****
16년 만에 먼지 앉은 기록을 들춰본다. 운율도 안 맞고 서툴지 그지없다. 형식은 허술하지만 내용 앞에서 나의 심장은 여전히 뛴다. 건조하게 푸석거리던 꽃차에 물을 부은 듯 마음이 물컹해진다.
그때나 지금이나 OECD 국가 중 여전히 자살률이 1위인 나라. 하루 평균 36.1명이 삶을 저버리는 나라. 청소년 사망 원인 1위가 9년 연속 '자살'인 나라. 절반에 가까운 1318 청소년들이 공부 문제로 고민하는 나라에서 나는 교사다.
공부를 꽤 잘하는 아이였다는 말을 들었다. 그 아이가 어떤 이유로 그런 선택을 했는지 자세히 알지 못한다. 다만 그 이유가 절반의 범주 안에 포함되지 않았기를 바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 주변에 있던 어른들은 그 이유로부터 자유롭지는 못하리라. 더욱 마음이 무거워지는 건 삶과 죽음의 갈림길에서 위태롭게 흔들리고 있을 영혼들이 지금도 어딘가에서 눈물짓고 있으리라는 사실이다.
가끔 상상한다. 마음의 색깔이 나타난다면 어떨까. 몹시 곤란할 때도 있겠지만 흑백의 마음이라도 눈에 보인다면 좋을 텐데. 무채색이 색깔을 띠는 순간에는 초신성처럼 폭발한 다음 은밀하게 사라지더라도 말이다.
'색맹은 관련 유전자가 성염색체인 X염색체 위에 있는 반성 유전이야. 유전자형은 X′X′, X′Y로 표시해. 열성으로 유전이 되지.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욱 많이 나타나. 자, 이제 가계도에서 유전자형을 분석해볼까?' 지금도 나는 여전히 색맹을 가르친다. 색맹을 둘러싼 과학지식을 창고 대방출하며 각기 다른 마음으로 나를 바라보는 아이들을 바라본다.
나에게 '색맹'이란 과학을 넘어서는 뜨거움이다. 한 명 한 명 눈을 맞추다보니 각기 다른 표정이 눈으로 들어온다. 문득 깨닫는다. 강아지풀의 솜털을 바라보듯 바라본다면 이들의 색깔을 구분할 수도 있음을. 마음의 색맹에는 '관심'이라는 치료제가 있다는 사실을. 어쩐지 눈동자에서 색깔이 보이는 듯하다.
대전괴정중 박찬영 교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