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래 유성구청장 |
하지만 민선 이후 지방행정은 보신에서 벗어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온 게 사실이다. 임명직이 아닌 선출직이기에 추진 동력이 더욱 강하다. 아직 제도적 틀에 묶여 자치분권은 미완성 상태이지만 많은 지방정부가 시민의 보폭에 맞추려 노력하고 있다.
일례로 유성구가 최근 '2021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에서 지자체 행정서비스 부문 1위에 선정된 배경만 봐도 일선 행정이 얼마나 시민 욕구에 부응하려 하는지 알 수 있다. 유성구가 이 분야에서 최고 평가를 받은 이유를 요약하자면 행정조직을 시대 흐름에 맞게, 또는 선제적으로 대응해 과감하게 개편했기 때문이다.
KS-SQI는 한국표준협회가 서울대학교와 공동개발한 국내 유일의 서비스품질 측정 모델이다. 공공성, 친절성 등 총 9개 부분에 50여개의 세부항목을 평가한 결과 유성구는 71개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70.3점으로 1위에 올랐다.
유성구는 코로나19의 엄중한 상황에서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해 혁신 성장을 설계하고 시민과 끊임없이 소통·협력하는 상생의 거버넌스를 구축한 점을 높게 평가받았다.
자치구에서는 드물게 미래전략 특화정책 전담부서를 신설해 전방위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표방하고 나섰다. 이를 통해 디지털 혁신 중심도시로 가는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코로나19로 도출된 행정·사회의 구조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코로나 19를 통해 가장 힘들고 소외 받는 청년세대의 취업문제와 침체된 지역경제,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려는 의지를 조직개편에 투영했다.
유성구 조직은 1998년 민선 출범 당시 3국 4실 13과 59계였다. 3국은 총무국, 사회산업국, 도시국으로 주민생활을 지원하는 필수 골격만 갖췄다. 경상경비 집행과 쓰레기 수거, 민원서류발급, 인허가, 복지행정 대행이 주요 업무였다.
지금은 당시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디테일한 조직을 갖췄다. 민선 7기 출범 이후 두 차례의 획기적인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현재 5국(局) 4실(室)의 명칭에는 '혁신', '복지', '환경', '안전', '일자리' 등 시대를 읽고 구민 욕구를 반영한 키워드가 눈에 띈다.
개편된 핵심 부서를 보면 국민적 최대 관심사인 청년 일자리와 지역경제 난맥상을 풀기 위해 '일자리정책실'을 과감하게 신설했다.
디지털 시대를 공유·선도하기 위해 '미래전략과'를 신설한 것도 시대 흐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다. 일자리정책실과 미래전략과는 디지털 혁신·공유 과정에서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긴밀한 협업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4차 산업혁명 선도도시답게 대덕특구 지원업무와 청소년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교육과학과도 유성구를 더욱 ‘유성스럽게’ 하는 부서다.
이밖에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한 외로움해소팀·숲체험팀,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아동친화·아동보호·여성친화팀, 공동주택 주거환경을 돕는 공동주택지원센터, 도서관운영과 등은 주민들에게 필요한 행정서비스를 시의적절하게 가동한 조직 운용의 묘라 할 수 있다.
일각에선 '교육', '과학', '외로움 해소', '디지털', '공공데이터' 등의 단어가 포함된 조직명을 보고 "구청이 이런 데까지 신경을 쓰느냐"고 의구심을 나타내지만, 그동안 닿지 않았던 행정의 손길을 뻗쳐준 데 대한 호응도가 훨씬 높다는 점에 공무원들은 힘을 얻고 있다. 복잡다단한 현대사회에선 행정서비스의 영역이 무한 확대될 수밖에 없다는 느낌이다.
이 가운데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 소외계층 배려 분야 등은 구민 의견과 욕구를 반영하면서 선택과 집중적인 조직개편을 계속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