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콘텐츠진흥원이 운영하는 스튜디오 큐브와의 연계성을 비롯해 수도권 영상기업 입주, 인력 양성, 대덕특구 원천기술과의 접목 등은 향후 큰 과제로 남는다는 점에서 이제 반환점을 돌았다고 볼 수 있다.
대전시는 10일 예타사업 통과와 관련해 특수영상 거점도시 도약 방안을 발표했다.
손철웅 대전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예타조사 종합 평가 점수는 0.63이고 경제성분석인 BC는 1.19로 예상편익이 높다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정책성 평가에서도 일자리, 사업준비, 정부 정책 육성 흐름에 부합할 수 있는 사업임을 인정받았다"고 설명했다.
대전시는 특수영상 클러스터에 기업입주 공간 80실, 특수영상 전용 스튜디오 3개실, 모션캡쳐와 실감형 영상제작 스튜디오 2개실, 로봇카메라와 드론 등 특수영상 장비 30종, 인력 양성 공간, 사후편집 공간, 대규모 영상물 저장 및 초고속 전송 시설을 구축할 예정이다. 총사업비 1476억 원을 투입하고 2025년까지 조성된다.
손철웅 대전시 문체국장이 융복합 콘텐츠 클러스터 예타 통과와 관련해 향후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해미 기자 |
대전시가 융복합 콘텐츠 클러스터 조성 사업에 강한 자신감을 보여주는 것은 세계적인 흐름이 특수영상으로 쏠려 있기 때문이다. 대전시에 따르면 세계 영상 산업은 해마다 11%가량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데 대한민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겨우 1.9%다. 그러나 넷플릭스 '오징어게임' 등 지역에서 촬영 된 K-콘텐츠, K-드라마 등 한류 콘텐츠 시장은 파급력 있게 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특수영상 클러스터가 가져올 비전은 무궁무진 하다는 분석이다.
손 국장은 "특수영상 시장은 계속 변하고 있고, 시장 흐름에 맞게 기업 차원의 접근이 아닌 기술력을 가진 연구기관과 협업해야 한다. KAIST의 콘텐츠 소프트웨어, ETRI 인공지능, KISTI 슈퍼컴퓨터, KIMM 로봇제어 등 대덕특구의 원천기술을 현장과 연결해 산업화가 되도록 지원하겠다"라며 "대전 특수영상 클러스터에서 제작된 양질의 콘텐츠를 연간 20편씩 OTT 플랫폼에 공급을 목표로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전시는 최종 목표는 특수영상 체험 미디어아트 단지 구축이다. 스튜디오 큐브, 국립중앙과학관 과학체험랜드, 융복합 특수영상 클러스터, 신세계 사이언스 과학문화체험시설을 모두 포괄하고 2023년 '대전 국제 비주얼 아트테크 어워즈'를 개최하는 등 양질의 기반시설과 콘텐츠로 특수영상 거점도시로 거듭나겠다는 목표다.
한편 '오징어게임', '킹덤', '승리호'가 촬영된 스튜디오 큐브와의 연계성에 대해서는 대전시도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다.
손철웅 국장은 "향후 70억 원을 투입해서 스튜디오 큐브 영상물을 미디어월로 보여줄 예정이다. 큐브와 지역 영상산업은 반드시 결합해서 가야 한다"라며 "큐브의 콘텐츠 결과물이 시민과 공유되지 못하는 것은 아쉽다. 제작지원 등 대전시의 역할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특수영상 클러스터 조감도.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