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게티이미지뱅크 |
사업 인지도 부족과 더불어 재단에 직접 상담 신청서를 제출해야 돼 익명성이 보장되지 못한다는 인식 때문으로 풀이된다.
8일 대전문화재단에 따르면 예산 5000만원을 편성해 지난 3월부터 이달까지 심리상담을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신청건수는 23건에 불과하다. 예술인활동증명을 증명한 대전의 예술인 수가 3232명인 것을 따졌을 때 신청 건수는 극히 적은 편이다.
예술인심리상담사업은 창작활동과정에서 심리적 스트레스를 겪거나 코로나19로 정신적인 피해를 입은 예술인들을 위해 심리검사와 상담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성격 및 정서 검사 1회와 심리상담 최대 6회를 지원해준다. 신청하기 위해선 재단에 신청서를 이메일로 제출해야 하며 예술인복지법에 따라 예술인활동증명서가 필요하다.
이 사업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서 지원하는 예술인심리상담 사업과 별개다. 예술인복지재단에서 전국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심리상담을 지원하고 있지만 수도권 예술인들에게 혜택이 집중되면서 시 차원에서 지역예술인들을 위해 지원 중이다
실제로 지난 10월 유정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공개한 한 예술인복지재단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심리상담 사업을 신청한 예술인 현황은 서울·경기 권에 53.1%로 대전 등 타 시·도는 신청률이 3%대거나 그 이하였다. 지역의 예술가들이 심리상담을 받기 위해선 수도권에 있는 상담 기관까지 가야한다.
이런 이유로 재단에서 시비를 통해 심리상담을 지원 중이지만 사업 인지도 부족과 코로나19 여파, 심리상담을 꺼리는 예술인들의 인식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재단에선 홈페이지와 팜플렛 유관기관 배치 등을 통해 사업 홍보를 하고 있지만 예술인들의 사업 인지도가 떨어지는 상황이다. 문화예술 행사 시 재단 관계자가 직접 예술인들과 접촉해 홍보하기도 하지만 코로나19 여파로 대면 문화행사들이 줄면서 그마저도 어렵다.
상담을 위해선 재단에 직접 신청서를 작성해 제출해야 한다는 점도 참여율이 떨어지는 이유로 꼽힌다.
지역의 문화예술 관계자는 "심리상담 사업은 익명성이 보장돼야 하는데 재단의 심리상담 사업의 경우 재단에 직접 신청을 해야 하니 재단 관계자들에게 예민한 부분이 노출이 될 수밖에 없다"며 "차라리 이런 지원사업은 재단이 아닌 의료기관이 위탁해 진행했으면 좋았겠다"고 설명했다.
이에 재단 관계자는 "상담과정에 전혀 관여하지 않고 원활한 행정처리만 도와드리고 있다"며 " 예술인들이 주저하는 부분이 있다고 하면 내년에는 신청서를 간소화하고 상담사와 바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겠다. 사업 홍보 강화와 더불어 신청기간도 12월 초·중순까지 연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