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저런 생각 끝에 다다른 횡단보도, 맞은편 어르신의 모습이 심상치 않다. 100m 달리기를 앞둔 아이처럼 긴장감 역력하다. 호각소리가 나자마자 앞으로 뛰쳐나갈 채비를 하는듯한 모습. 굽은 등 탓일까? 힘껏 부여잡은 작은 가방이 힘겨워 보인다. 보행자 신호에 파란불이 켜지자 남은 시간을 알리는 숫자가 재빠르게도 줄어든다. 분주하게 지나가는 사람들 사이로 걸음을 재촉해보지만, 역부족이다. 노인이 도로를 채 건너기도 전, 빨간불이 켜져 버렸다. 야속하리만큼 빨리 끝나버린 보행자 신호. 더뎌지고 무뎌지는 몸 만큼이나 설움도 커졌으리라.
나이듦과 서러움은 필연인가?
도심의 대학병원을 찾은 촌로, 진료를 마치고 병원 문을 나서는 길은 상냥한 주차료 정산원 대신 굳게 잠긴 차단기뿐이었다. 예전처럼 진료 영수증만 보여주면 무사통과 할 줄 알았는데…, 틀렸다. 말 없는 기계 앞에서 머뭇거리는 사이 뒤편 차들이 요란스레 경적을 울려대기 시작했다. "왜 빨리 안 나가냐"는 압박에 놀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난감한 상황. 어느 마음씨 좋은 방문객의 도움으로 겨우 병원을 빠져 나올 수 있었지만, 딸 아이 도움없이 대학병원을 찾지 못하는 이유가 또 하나 늘었다.
사람이 있던 자리를 각종 디지털 기기들이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패스트푸드점부터 버스터미널, 병원, 도서관까지 우리 일상 곳곳을 점령한 키오스크(무인단말기). 인건비 절감이라는 강력한 무기와 코로나시대 비대면 확대 분위기를 등에 업고 그 기세가 무섭다. 어딜 가나 위풍당당한 서 있는 키오스크, 안타깝게도 대부분 그 옆에는 안내원이나 직원 호출버튼 따위는 없다. 복잡한 조작법과 난해한 문구, 또 뒷사람 눈치까지 봐야하는 심리적 부담감. 첫 대면에서는 젊은이들조차 어려움을 겪는다는데…. 기기 조작에 서툰 노인들에게는 최악의 발명품, 최고의 불친절임에 틀림없다.
실제로 소비자원이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 따르면 70세 이상 노인 5명중 3명은 버스표 발권을 하지 못했고, 패스트푸드 가게에서는 피실험자 모두 주문을 완료하지 못했다고 한다. 누군가에겐 손가락 하나로 쉽고 빠르게 원하는 것을 얻어낼 수 있는 디지털 세상이 또 누군가에겐 먹고 싶은 햄버거 하나 마음대로 살 수 없는 '디지털 장벽'이 되어버린 것이다. 최근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자치단체들이 앞다퉈 키오스크 사용법 교육에 나섰고, 정부에서도 관련 기기의 표준화를 위해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하니 그나마 다행이다.
OECD 국가 중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대한민국, 20년 후인 2041년에는 국민 3명중 1명이 노인인 나라가 되고 2048년에는 국민 절반이 노인가구가 된다는 통계다. 불편하지만 조금은 느린 보행자 신호, 촌스럽지만 조금은 더 친절한 키오스크 화면이 필요한 이유다. 소망해 본다, 꽃이 예뻐지는 것이 서럽지 않은 날이 오기를…. 편집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