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주권에 맞는 청년 직접참여 강점
일자리 부족 등 해결 과제도 많아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했다. 세종시는 2002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행정수도 건립 계획에 따라 탄생했다. 행정수도는 '국가 정치·행정의 중추 기능을 가지는 수도'를 뜻한다. 지나친 수도권 집중으로 인한 지역 격차와 국토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혹은 국가의 정체성·일체성 강화를 위해 세종시는 조성됐다. 내년이면 세종시는 출범 10주년을 맞는다. 그동안 세종시는 정부기관 및 국책기관의 이전, 주택 12만호 공급, 의료·복지·학교 등 도시기반시설 확충과 정주 여건 개선을 통해 인구 37만명 도시로 성장했지만,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인다. 행정수도 완성, 주민자치 실현, 스마트시티 조성 등 세종특별자치시의 현재를 살펴보고 미래 100년을 함께 준비해보자.<편집자 주>
세종시 청년인구(만19~34세)는 6만6807명으로 전체의 19%다. 2030년까지 도시건설을 진행하는 계획도시로 도시기능은 계속 팽창·확대될 수 밖에 없다. 세종시에서 '청년' 정책을 중요하게 생각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세종시는 '행복한 내일이 있는 청년, 청년이 살기 좋은 세종'을 슬로건으로 내세워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청년정책을 펼쳐왔다. 최근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이 확정된 만큼 '청년수도 세종' 완성을 위해 달려나갈 각오다.
청년정책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그동안 아동청소년과, 일자리정책과 등 여러 부서에서 산발적으로 청년정책을 추진을 한 곳으로 모아 추진한다. 세종시는 지난 9월부터 청년정책 전담부서를 운영하고 있다. 청년정책담당관실은 일자리·주거·교육·복지·문화 등 각계 분야에서 청년을 위한, 청년에 의한, 청년의 정책을 펼치고 있다.
특히 '시민주권 특별자치시'라는 세종시의 자치분권 구호에 걸맞게 청년들이 직접 참여해 주도적으로 청년정책을 만들어가는 방식을 구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청년세대 소통·협력 창구인 청년정책네트워크('세종 청정넷')를 지난해 구성했고, 시 자문성격의 각종 위원회에 청년위원 10% 할당제를 도입했다. 시민주권회의 12번째 분과로 '청년분과'(20명)를 올해 말 신설할 예정이다. 청년정책네트워크, 도시재생 청년서포터즈도 활동 중이다. 또한, 구도심과 신도심으로 이원화된 세종시의 특수성을 감안한 지역맞춤형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1만5천여명의 국가직공무원이 거주하는 행정타운이라는 차별성을 반영한 사업 등을 추진 중이다. 올해 세종시 청년예산은 220억원, 1인당 32만8000원으로 전국 7번째 수준인데 이를 2025년 1인당 60만원으로 높이겠다는 것이다. 치솟는 세종시 집값·전세값 속에서 내년부터 주거비 지원정책도 신설할 예정이다.
내년에는 취업전담기관인 세종청년일자리센터가 문을 열어 원스톱 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AI 연계 일자리매칭플랫폼 구축, 1인 최대 300만원씩 구직활동비(500명)와 창업활동비(100명) 지급 등을 신규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복지분야에서는 3년간 월15만원씩 내면 만기시 1100만원 목돈을 주는 청년적금(100명)도 지원하고 있다.
아쉬운 점은 일자리다. 조성 10년째를 맞는 세종시는 기업이 많지 않다. 기업은 결국 일자리다. 세종시로서는 능력 있는 청년층을 잡기 위한 양질의 일자리 확보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세종시 관계자는 "세종에서 청년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이런 청년들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을 추진 할 것"이라면서 "청년 스스로가 정책을 제안하고 만들어가는 방식으로 '청년수도 세종' 완성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