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일보 DB. |
사회적 패러다임이 변화하면 대학도 이에 대한 변화를 만들어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를 위해 특성화를 통한 체질 개선과 변화를 꾸준히 이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대학 특성화는 타 시도 대학 사례에서 잘 알 수 있다.
먼저 목포해양대엔 해사대학이 있다. 해사대학은 해운업에 대한 특성화를 보여준다. 항해학부, 해상운송학부, 항해정보시스템학부, 기관시스템공학부, 해양경찰학부, 해양메카트로닉스학부, 해군사관학부 등이 있다. 해양이란 특성화 속에서도 다방면으로 분류해 전문화했다.
목포해양대의 경우 2018년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에 따라 특성화에 나서고 있다. 오는 2025년까지 'NEW GPS VISION 2025 중장기발전계획'을 세우고 나서 중장기발전계획에 따라서 특성화를 해왔다. 방향은 다섯 가지다. 첫 번째가 자유운항, 두 번째 친환경선박, 세 번째 해양 안전분야, 네 번째 해양 BNA 및 ICT 융복합, 다섯 번째 해양레저와 크루즈산업 등 다섯 개 세부분야를 선정해 이에 맞춰서 특성화에 나선다.
특성화의 힘은 학생 지원율로 나타난다. 해사대학은 최종등록률 100%를 꾸준히 채워왔다. 즉, 미달이 없었다는 얘기다. 학령인구 감소 속에서도 오히려 지원율은 늘고 있다. 2022학년도 수시모집에선 462명 모집에 2181명이 지원하는 등 4.72대 1 수준을 보였다. 취업도 마찬가지다.
특성화에 따른 취업 보장도 장점 중 하나다. 대학알리미에 따르면 지난해 목포해양대 취업률은 82%로 국공립대학 평균(59.9%)보다 22.1%p 높았다. 해사대학 학생들은 졸업 후 5년 이내 3년간 승선 근무 시 병역 대체가 되는 승선근무예비역으로 선박 회사에 취업하게 되며, 해군사관학부 학생은 해군 장교로 진출이 가능하다. 이후 경력 및 전공에 따라 선장·도선사·기관장 등으로 승선근무를 지속하거나, 해운업계, 조선업계 관련 연구기관·공무원(해양수산부, 해양경찰 등)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고 있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충남 부여에 있는 한국전통문화대학도 특성화로 학교를 개선해 왔다. 이 대학은 문화재청에서 설립한 국립대학이다. 학부와 대학원 체제를 갖고 있다. 2개 단과 7개 학과로 이미 편제가 특성화돼 있다. 이 대학은 독자적인 교육혁신 전략추진을 위해 지난 3월에 교육혁신전담 부속기관인 '문화유산혁신인재개발원'을 개원해 운영하고 있다.
결국 한국전통문화대학만이 할 수 있는 교육혁신 영역 발굴에 집중해야 한다는 취지다. 교육이라는 기본적인 무게 중심을 두고 현재는 학부에 대한 경쟁력 교육에 대한 특수성을 강화하고, 나아가 교육적인 부분에서 인재양성 학부와 연계되는 대학원 교육에 방점을 둬 운영한다.
한국전통문화대학의 경우 융합과 문화유산의 새로운 교육 수요를 위해 '창의융합전공' 제도를 운영 중이다. 문화유산 현장에서도 실무형 현장전문가를 요구하던 시대에서 이제는 복합적 이슈를 해결할 수 있고 실무도 담당할 수 있는 문제해결형·창의형 현장전문가를 요구에 따라 새로운 융합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특성화 대학에서 또 다른 특성화로의 변화에 적응해야 한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이를 두고 시대적 흐름에 따라 대학에서 체질 개선을 통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특성화를 통해 시시각각 변하는 사회에 맞춰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김영모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총장은 "교육방식과 교육모델 확립에 차별을 두고 특성화에 대응해야 한다"며 " 새로운 영역의 교육프로그램을 발굴하고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수영·조훈희 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으로 작성됐습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