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게는 우리 자신의 삶부터 수 없는 변화를 겪었다. 회상하다 보면 참 어처구니없는 일이 많다. 공중도덕이나 질서의식도 눈에 띄는 하나다. 퍽 무질서했던 기억이다. 하다못해 버스를 타더라도 서로 먼저 타기 위해 아귀다툼을 벌였다. 교통수단이 부족하고 더 많은 사람을 태우기 위해서였을까? 정확한 이유는 잘 모르지만, 좌석표가 없었다. 먼저 타는 사람이 임자다. 나아가 짐으로 자리를 선점해 놓고, 창문으로 가방을 들여놓기도 했다. 심지어 창문으로 올라타기도 했다. 이런 경우를 일컬어 '개판 오 분 전'이라고 한다. 무질서하고 엉망진창인 행태를 만나면 곧잘 사용하는 말이다. 사전적 의미도 다르지 않아, "상태, 행동 따위가 사리에 어긋나 온당치 못하거나 무질서하고 난잡한 상황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다.
우리 말에서 접두사 '개'는 '참'과 대응한다. 진짜나 좋은 것이 아니고, 함부로 된 것을 말할 때 쓰인다. 부정적이거나 정도가 심한 것을 의미한다. 개나리, 개미나리, 개비름, 개살구, 개떡 등과 같이 야생 상태나 '흡사하지만 다른' 의미로 쓰인다. 헛되다, 쓸데없다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개꿈, 개나발, 개수작, 개죽음 등이 그것이다. 개망나니, 개잡놈 등과 같이 부정적 뜻을 더욱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요즈음은 신조어도 많이 들린다. 개같다, 개구리다, 개매너, 개덥다, 개이득, 개좋다, 개짜증 등이다. 본래 단어가 가지고 있는 의미의 반대, 또는 강조할 때 붙여 사용한다. 오랜 언어습관임에도 짐승 '개'로 오인하고 사용하기도 한다. 심지어 욕설에 가까운 것이 아닌가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개판 오 분 전'도 오해하고 사용하는 말 중 하나다. 짐승 개가 놀고 나면, 그 현장이 어지러워지고 엉망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여기서 개판은 짐승 개와 아무런 관계가 없다. 그러함에도 개가 판치는 것을 떠올리며 사용한다. 뜬금없이 개가 비난 대상이 된다. 개 입장에서는 무척 억울할 듯하기도 하다.
<우리말의 유래> 등을 종합해보면, 사정은 이렇다. 동족상잔이 벌어진 6.25 초기 전선이 밀려 영남 일부만 남았다. 특히 부산지역은 피난민이 몰려 아수라장이 되었다. 먹는 것이 제일 문제였다. 가마솥에 밥을 지어 나누었는데, 뚜껑 열기 오 분 전이면 높은 곳에 올라 꽹과리를 치며 "개판 오 분 전이오!"라고 알렸다. 개판은, 나무로 된 뚜껑(板)을 연다는 말이다. 개(犬)가 아니라 개(開)인 것이다. 앞다투어 밀려드는 사람들로 혼잡이 극에 달했다. 장기간 지속하다 보니 일상이 되고, 그 광경과 말이 그대로 전파되었다 한다. 의미는 다르지 않지만, 속내는 우리네 애잔한 슬픔과 아픔이 담겨있다.
민주주의 꽃이라는 선거 때만 되면, 왜 폭로전이 이어지고 중상모략과 흑색선전이 판을 칠까? 자신의 장점과 정책 알리는 것이 먼저 아닐까? 거짓은 어떻게든 엄단 해야 한다.
반면에 아직도 개판 오 분 전이란 생각도 인다. 우리 사회도, 우리의 삶도. 숨겨졌던 그늘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것은 아닐까? 성찰과 공부가 부족했던 것은 아닐까? 물론, 미숙한 삶의 과정으로 치부할 수도 있다. 누군들 꽃길만 걸어왔으며, 곧은 길, 바른길만 걸었으랴.
<중용>에 전하는 말이다. "하늘이 내린 천성을 성이라 하고, 그 천성을 따르는 것을 도라 하며, 도에 따라 수신하는 것을 배움이라 한다. 도는 잠시도 떠나서는 안 되고, 떠날 수 있는 것은 도가 아니다. 그러므로 군자는 보는 사람이 없는 곳에서 더욱 신중하고, 듣는 사람이 없는 곳에서 더욱 경외한다. 숨겨도 보이고 미세해도 드러나므로, 군자는 홀로 있을 때도 신중해야 한다(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道也者 不可須臾離也 可離 非道也. 是故君子戒愼乎其所不睹 恐?其所不聞. 莫見乎隱 莫顯乎微 故君子愼其獨也.)"
숨겨도 보이고 미세해도 드러난다는 것은, 숨겨진 것보다 더 잘 드러나는 게 없으며 미세한 것보다 더 잘 나타나는 것은 없다는 말이다. 옛말이 틀리지 않음을 깨닫게 한다. 윤동주 시인의 서시를 떠올려 본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