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성공위해선 원도심 활성화 꼭 필요
청춘프로젝트 추진 후에도 인구 정체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했다. 세종시는 2002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행정수도 건립 계획에 따라 탄생했다. 행정수도는 '국가 정치·행정의 중추 기능을 가지는 수도'를 뜻한다. 지나친 수도권 집중으로 인한 지역 격차와 국토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혹은 국가의 정체성·일체성 강화를 위해 세종시는 조성됐다. 내년이면 세종시는 출범 10주년을 맞는다. 그동안 세종시는 정부기관 및 국책기관의 이전, 주택 12만호 공급, 의료·복지·학교 등 도시기반시설 확충과 정주 여건 개선을 통해 인구 37만명 도시로 성장했지만,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인다. 행정수도 완성, 주민자치 실현, 스마트시티 조성 등 세종특별자치시의 현재를 살펴보고 미래 100년을 함께 준비해보자.<편집자 주>
조치원 항공사진. 사진제공은 세종시도시재생지원센터 |
2000년대 이후 도시 패러다임은 개발에서 '재생'으로 전환됐다. 우리나라도 물리적 개발을 넘어 사회·경제적 발전을 포함하는 종합적 '도시재생'으로 패러다임을 바뀌었다.
세종시는 2030년까지 인구 80만 자족도시를 꿈꾼다. 행정중심복합도시는 도시 자족기능이 완성되는 시기로 50만 명의 인구 유입이 완성되는 것으로 계획됐다. 여기에 10개 읍면지역 인구 30만명을 확보한다는 게 세종시의 기본 구상이다.
이를 위해서는 읍면지역 균형발전과 상대적 박탈감 해소가 꼭 필요하다. 그 대표적인 사업이 도시재생이다. 읍면지역에는 기존의 면사무소 외 뚜렷한 편의시설은 부족하다. 시는 현재 도시기반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정주 여건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통 편의성과 쾌적한 도시 환경, 안정적 물가 등을 꼽는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2014년 10월 시정 2기 핵심 과제로 '청춘조치원 프로젝트'를 선포했다. 세종시 원도심인 조치원읍에 젊은 인구를 유입해 활기를 불어넣겠다는 계획이다.
도시재생, 인프라구축, 문화복지, 지역경제, 뉴딜 사업 등 5대 전략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청춘조치원 프로젝트가 시작된 2014년 이후 올해까지조치원에 매년 13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했다. 여기에 앞으로 4년간 마무리 단계인 도시재생 사업을 제외한 인프라 구축과 문화복지 등에 매년 1200억원의 예산이 확정돼 있다. 동서연결도로 개설사업, 조치원 제2복합커뮤니티센터 건립사업, SB플라자 건립 사업 등 다양한 사업들도 추진됐다. 이와 함께 조치원읍 자체 예산도 세종시 출범 당시보다 3.2배가 늘어나는 등 원도심 활성화의 중심인 조치원읍 발전을 위한 투자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사업에 대한 가시적 성과가 나와야 하는 시기지만, 도심 활성화 성과를 가늠할 수 있는 인구 수는 세종시가 출범한 2012년 수준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행정안전부 통계를 보면 2010년 12월말 당시 4만3016명이던 조치원읍 주민등록인구(외국인 제외)는 올해 8월말에는 4만2952명으로 64명 감소했다.
일각에서는 거주지 확보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서금택 세종시의회 의원(조치원읍)은 지난 3월 5분 발언을 통해 "조치원 인구는 2014년 4만 8000여 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지금은 정체돼 있다"면서 "교통인프라 구축과 주변 국가산업단지의 유입인구 등을 감안한 주택부지 확보계획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치원 제2청사 설립 요구도 나온다. 조치원 등 북부지역 시민이 민원업무를 행복도시 내 시청까지 이동거리는 자동차로 30-40분 거리로 불편이 커 제2청사 설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역 정가 한 인사는 "행정도시의 경우는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가 확정되면서 도시성장의 큰 전환기를 마련했다"면서 "반면 조치원은 꾸준한 지원에도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세종=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