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세화 디지털룸 기자 |
최근 대전시민들의 정서적 고향인 옛 충남도청이 위기국면을 맞았다. 지난 2차 회의 때 논의항목에서 제외되면서 수면 밑으로 가라앉았던 연수원 건립이 다시 고개를 내밀었기 때문이다. 지난 7일 문체부는 자문회의를 통해 미술관 수장고와 함께 인재개발원 조성 입장을 밝혔다. 표현은 그럴싸해 보이지만, 결국 문체부 공무원들 필요에 의한 행정공간으로 사용하겠다는 말이다. 첫 회의 때 100개가 넘는 객실에 세탁실에 라운지까지 계획했다는 점에서 진천의 공무원인재개발원이나 아산 경찰연수원 등과 다른 점을 찾기가 어렵다. 결국 시민대학과 공무원연수원을 맞바꿔야 하는 셈이다. 도심에서 벗어나 외곽에 조성하는 보통의 경우와 달리 도심 한복판, 원도심의 심장부와 같은 곳에 연수원을 들인다는 문체부의 발상은 명백한 공심(公心)의 배반이다.
내달 중순이면 문체부가 발주한 한국관광연구원의 '옛 충남도청사 활용방안' 용역결과가 나온다. 논의가 이어질수록 연수원 건립이 가시화하는 뉘앙스에, 국가등록문화재 근대건축물이 포함된 공간이 정부부처의 행정처로 전락하는 게 아니냐며 자문에 참여했던 전문가들마저 회의감을 드러낸다. 협상의 주체인 대전시의 문화의식 빠진 태도도 문제로 지적된다. 도청특별법의 '무상양여·대부'도 활용하지 못하는 데다, 올해에만 수차례 기본구상계획을 변경하는 등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전략을 짜지 못하는 팔랑귀도 문제라는 것이다. 하지만 미술관 개방형 수장고만 사수하면 여타 기관들은 부지 소유주인 문체부 손을 들어줘야 한다는 시의 입장은 어쩌면 문체부보다 더 극악한 공심의 배반일 것이다.
공심(公心)은 공평한 마음이며, 경계를 나누지 않는 마음이다. 대전시민이 곧 국민이며, 대전시민을 위하는 행정이 곧 국민을 위하는 일이다. 내년 초 선거철이 돌아온다. '옛 충남도청 활용방안'을 해묵은 과제가 아닌 대전의 정체성을 집약할 공간으로의 마지막 기회로 승화하길 바라본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