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난한 식탁 : 저는 채식주의자입니다] '고기 없으면 뭐 먹지?' 창의성 발휘해 비건요리 만들기

  • 경제/과학
  • 유통/쇼핑

[유난한 식탁 : 저는 채식주의자입니다] '고기 없으면 뭐 먹지?' 창의성 발휘해 비건요리 만들기

  • 승인 2021-10-27 10:16
  • 수정 2021-10-27 14:21
  • 이유나 기자이유나 기자

컷-비건







미트볼 대신 베지볼, 햄 없는 햄버거 등 다양

한식은 원래 비건에서... 든든한 한끼로 손색없어

 

KakaoTalk_20211025_090428358
대전의 한 비건 빵집에서 비건 햄버거 클래스를 열었다. 사진=이유나기자
'너는 뭘 먹고 사니?' 흔히들 채식주의자라고 하면 샐러드만 먹는다고 오해하기 쉽다. 하지만 이는 육식에 익숙해져 고기 없는 요리를 상상해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창의성만 있다면 누구나 다채로운 채식 생활을 즐길 수 있다. 책과 SNS엔 비건 요리법이 가득하다. 고기와 해산물을 냉동 보관하고 익히고 손질하는 수고를 들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더 간단하다.

KakaoTalk_20211025_085457646
미트볼 대신 베지볼을 이용한 요리. 사진=이유나기자
▲ '이렇게 맛있는데 왜 비건 안 하는 거지?'…비건 완제품을 이용한 요리
채식을 하면 치즈의 향, 고기의 식감을 포기해야 할까? 비건 제품들은 수입제품이 많고 시중에서 구할 수 없는 단점이 있지만 고기의 맛과 향을 흉내낸 비건 완제품이 개발되면서 채식 입문이 쉬워지고 있다. 비건 브랜드 베지가든은 비건 떡갈비, 함박스테이크, 식물성 체다치즈 등을 출시했다. 대체육 브랜드 비욘드미트도 식물성버거패티, 비건 소세지 등을 개발했다.

맛은 어떨까? 병아리콩·당근·후추·옥수수로 만든 이케아의 '베지볼'을 직접 먹어보니 미트볼과 비슷한 식감을 내면서 톡톡 씹히는 옥수수가 매력적이었다. 토마토 소스를 뭉근하게 끓인 후 야채와 베지볼을 넣고 익히면 근사한 이탈리아 요리를 만들 수 있다. 다양한 비건 요리를 시도해보면 고기가 없다면 맛이 없을 것이란 건 착각임을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비건 요리에 익숙해지면 조리 시간이 적게 들고 부패 위험이 적은 채식 요리의 매력을 알게 될 것이다.

KakaoTalk_20211025_085455799
사르르 녹는 비건 무조림은 밥도둑이다. 사진=이유나 기자
▲ 한식은 원래 비건이다…쉽게 하는 채식
동물성 식품을 흉내 낸 비건 완제품을 사지 않아도 집에서 비건 요리를 해먹을 수 있다. 우리가 먹는 전통 한식은 원래 비건이기 때문이다. 젓갈 없는 김치, 채수로 국물을 낸 맑은 콩나물국, 곤드레 나물밥, 두부, 고기와 맛살이 없는 잡채 등 생각보다 비건은 우리 가까이에 있다. 입맛이 서구화되면서 우리 전통음식에 고기, 계란 등이 추가됐을 뿐이다. 몇 가지 동물성 음식과 기름만 빼면 한식은 훌륭한 자연식물식이다.



이의철 의사는 책 '조금씩, 천천히, 자연식물식'에서 50년 전 비만도 없고 만성질환도 없었던 한국인들이 육류, 어패류, 우유, 식용류, 설탕을 눈에 띄게 많이 먹으면서 만성질환이 늘어났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UN식량농업기구 통계에 따르면 한국인은 지난 1961년 고기를 12.2g만 먹었지만 2011년에는 180g이나 먹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50년간 15배가 증가한 수치다. 생선과 기타 어패류도 지난 1961년에 36.2g에서 2011년 164g로 5배, 식용유는 1961년 하루 평균 1.2g에서 2011년 50.9g으로 42배 증가했다. 설탕은 20배, 계란 및 기타 알류는 8배, 우유 및 유제품 섭취는 48배 증가했다. 반면, 쌀은 과거에 현재보다 더 많이 먹었는데 1974년엔 348g의 쌀을 먹었지만 2011년엔 234g을 먹었다. 이 의사는 "기름과 설탕이 거의 들어가지 않은 전통 채소 반찬들과 고봉밥이야 말로, 현대인의 건강문제를 해결할 자연식물식 식단이다"고 설명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3.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4.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5.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1.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2.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3.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4.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5.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헤드라인 뉴스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의과대학 학생들이 집단휴학을 철회하고 학교에 복학을 신청하면서 의학교육이 1년 만에 기지개를 켜고 있다. 교육부는 학생들이 실제 수업에 참여하는지 살펴보고 복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고 밝혀 이번 주 의대정원을 증원 전으로 돌리느냐 중요한 시간이 될 전망이다. 정부가 정한 의대생 복귀 시한인 31일 전국 대다수 의대가 등록을 마감한 가운데 대전과 충남·북의 의대에서도 대체로 학생들이 복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충남대 의대는 3월 30일 복학 신청 접수를 마감했으나 몇 명의 학생들이 복학했는지 아직 공표하지 않고 있다. 당초 2월 2..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소비자 물가가 고공행진하고 있다. 식품·외식업계 가격 인상이 계속되면서 케이크 가격도 4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월 31일 해당 업계에 따르면, 투썸플레이스는 최근 커피와 음료, 케이크 가격을 올렸다. 케이크 가격은 2000원 올리고 조각 케이크는 400원 인상했다. 이에 따라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스초생)은 3만 7000원에서 3만 9000원이 됐다. 스초생 2단 제품은 4만 8000원이다. 딸기 생크림은 3만 6000원이고 클래식 가토 쇼콜라 가격은 4만원이다. 조각 케이크는 생딸기 우유 생크림은 9500원으로 1..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탄소 중립을 위한 대표적 교통수단인 자전거 이용을 높이기 위해 대전시가 '자전거 고속도로망' 구축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0년간 자전거 도로는 크게 증가했지만, 단절 구간이 많아 교통 분담률이 크게 늘지 않았는데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31일 대전세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대전시 자전거 고속도로 도입을 위한 기본구상 연구' 보고서를 보면 대전의 자전거도로 총연장은 2023년 기준 937㎞로 2010년 586.9㎞ 보다 60% 가까이 증가했다. 하지만, 자전거 분담률은 1.85%(2021년 기준)로 여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3색의 봄 3색의 봄

  •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