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원기 내포본부 기자 |
사정은 이렇다. 충남산림연구소는 금강자연휴양림과 금강수목원, 금강산림박물관을 아우르고 있는데 위치가 세종이다. 그럼 세종에서 운영비를 내는 게 아니냐는 의문부호가 달리겠지만, 운영비는 도에서 부담한다. 시점은 2012년 세종시 출범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충남 연기군 금남면이던 연구소는 세종시가 출범하면서 현재의 세종시 금남면으로 편입된다. 그해 12월 홍성과 예산군이 소재한 내포신도시로 충남도청과 도의회, 도교육청, 도경찰청 등 도 단위 기관은 충남으로 이전했다. 연구소는 그대로 남았다. 세종에 편입된 연구소 내 산림박물관과 자연휴양림, 수목원 등 296만㎡가 충남 소유로 유지됐다. 위치는 세종이지만 소유는 충남이 된 것이다. 충남의 소유이니 운영비 등은 도에서 부담하고 있지만, 여전히 세종에 있다. 이곳을 이용하는 이들은 위치가 세종으로 나오니 시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한다. 그렇다 보니 돈은 도에서 부담하지만, 홍보 효과는 세종이 가져가는,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주인이 받는다는 우스갯소리도 여기서 비롯된다.
운영비가 수익금을 추월하는 상황도 나온다. 2019년과 지난해 금강수목원을 비롯한 세종에 있는 사업소 운영비와 시설비는 36억 189만원이 투입된 데 반해 입장료 수익은 7억 7813만원이다. 물론, 충남의 소유이니 도민이 받는 혜택도 있다. 입장료 등이 타지역민과 다르게 '무료'지만, 이용률은 떨어진다. 지난해 기준 금강휴양림 이용객은 16만 6528명으로, 이중 충남도민이 이용객은 1만 5683명으로 전체 이용객 수 대비 9.4%에 불과하다. 이유는 간단하다. 거리적 제약이 크다. 도청 소재지인 내포신도시에서 70km가량 떨어져 있다. 시내버스로도 이용이 버겁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공주에서 가는 방법 말고는 없다. 때문에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도내로 이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자연휴양림과 박물관, 수목원 등을 충남으로 옮겨야 도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게 골자다.
296만㎡의 광활한 부지 컨트롤이 관건이다. 충남이 소유한 부지 공시지가를 감정가로 환산하면 수천억원에 달한다고 한다. 그간 운영비만 충당하고 도민이 제대로 이용하지 못한 보상을 위해선 세심한 이전 물색과 운영 방향이 동반돼야 한다. 자산가치를 교환이나 매각을 통해 제대로 충분히 받아내는 것에 대한 절충점도 찾아야 한다. 균형 있는 판단도 서야 한다. 12월 충남연구원과 충남도의 연구소 발전방향 전략과제에 이전 부지 분석 안이 나온다고 하니 첫 단추가 잘 꾀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전까지 어쩌면 수십년이 걸릴 수 있다. 연구소를 이전하는 물리적 시간을 계산한다면 조금 서두를 필요가 있다.
내포본부 방원기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