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대흥동 성당 일대/ 대전시 제공 |
시간이 흘렀지만 여전히 대전의 원도심은 '문화 보물창고'다. 현재 원도심에는 23개 근대건축물들이 있고 대흥동에서만 16여개 극단이 활동하며 18개의 갤러리가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그런 만큼 대전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곳이자 공연예술문화의 산실이며 구 충남도청사 등 근대문화유산을 바탕으로 역사성까지 보여줄 수 있는 높은 문화적 가치를 지닌 장소다.
그동안 전문가들은 원도심의 문화적 자원을 연계시켜 다양한 테마로 벨트화해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이룰 수 있는 시스템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하지만 대전은 많은 문화·관광 자원에도 불구하고 수년간 대전만의 콘텐츠와 문화 시설 간 연계 방안을 찾지 못했으며 홍보 부족까지 더해져 '노잼도시'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원도심은 1980년대 후반 둔산지구 개발로 공동화 현상으로 쇠퇴의 길을 걸었지만 시가 2003년 원도심 활성화 지원 조례 제정 이후로 도시재생과 원도심 활성화 정책에 주력하며 점차 활기를 찾기 시작했다. 2017년에는 근대문화유산이 집적돼 있어 원도심 일대가 근대문화예술특구로 지정되기도 했다. 옛 충남도청사 등 옛 도심부의 건축물과 문화예술을 융복합한 콘텐츠를 만들어 원도심을 활성화하고 문화 랜드마크로 만들겠다는 의도였다.
문제는 중심 역할을 할 옛 충남도청사가 10년이 지난 지금도 활용방안 논란이 이어지면서 옛 충남도청사와 원도심 문화예술을 연계할 킬러 콘텐츠조차 논의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테미오래(옛 충남도지사공간 및 관사촌) 역시 지역 문화계에서 원도심의 대표 문화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특화된 문화콘텐츠 부재와 운영 주체 간 갈등, 코로나19 여파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여전히 원도심에서 공연과 전시 활동도 활발히 진행되지만 홍보 부족으로 시민들의 무관심 속에 있는 것도 안타까운 지점이다.
더군다나 원도심 활성화 사업으로 지역 문화예술인들이 높은 임대료에 쫓겨나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발생해 많은 예술인이 대흥동과 중앙로 일대를 떠나기도 했다.
콘텐츠가 부재한 만큼 문화기획자와 지역예술인들의 유기적인 소통도 중요하지만 최근엔 지역 전체 문화인력이 줄어 이미 문화예술인 사이에서 '대흥동의 해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지역의 한 문화예술정책가는 "대흥동이 점차 상업적인 곳으로 변해 예술인들이 떠나는 이유도 있지만 청년 예술인들이 줄면서 대전의 예술인 인력 자체가 줄고 있다"며 "문화인력들이 사라지기 시작하면 대전을 대표할 콘텐츠를 만들기도 어렵다" "원도심 활성화 정책과 함께 청년 문화 기획자 등 문화 인력 육성도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