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천은 선암천, 대천, 개수천이라는 불리기도
버드나무 있는 물가 유등천 유포천으로 기록
유성현 동쪽 25리, 대전천 관전천으로도 불려
갑천과 유등천, 대전천 등 대전의 3대 하천은 언제부터 현 지명으로 불렸을까 하는 고민에서 출발해 여러 책자에서 답을 찾았다.
▲가장 살 만한 '갑천'='대전지명유래'를 살펴보면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첫 기록을 찾을 수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갑천은 현 서쪽 5리에 있는데 전라도 진산군 신현에서 발원해 현 서쪽 3리에 이르러 산암천이 되고 아래로 흘러 형각진과 합류한다", "성천은 유성현 동쪽 7리에 있는데 연산과 진산 두 현 경계에서 발원, 합류해 진잠현을 지나 유성현 동쪽에 이르러 성천이 된다. (중략) 이상 세 개의 하천이 합류해 회덕현의 갑천이 된다"고 쓰여있다.
해동지도 회덕현 지도에서 보이는 갑천 지명. |
이후 '동국여지지', '여지도서', '회덕읍지', '공산지', '대동지지', '호서읍지'에서도 갑천이 등장한다. 유성 동쪽을 지나는 갑천은 '성천', 대전천을 합한 후 북류하는 회덕 부근은 '갑천' 또는 '선암천'이라고 구분해 부르기도 했다. 이후 '해동지도'에서는 대천이라 했고, '1872 지방지도'에는 개수천이라는 이름으로 갑천을 불렀다. 갑천의 갑(甲)은 십간의 첫 번째로 제 일의 또는 첫 번째라는 의미로, 그때나 지금이나 3대 하천 가운데 규모나 상징적 의미가 컸음을 보여준다. 조선 후기 『택리지』를 쓴 이중환은 들판에 자리 잡은 마을 중 공주목에 속한 갑천을 제일 살 만한 곳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버드나무가 있는 물가 '유등천'=대전천과 갑천 사이에서 흐르고 중구와 서구를 구분 짓는 경계인 유등천 주변에는 버드나무가 즐비해 버드내라고 불렸다. 조선시대에는 유포천, 유천이라고 불렸다. "유포천(柳浦川)은 유성현 동쪽 20리에 있는데 전라도 진산현 경계에서 발원한다"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기록이 처음 등장한다. 이후 『동국여지지』에서도 유포라는 이름이 등장하고, 현재의 유등천은『1872지방지도』에서 처음 확인됐다.
▲하천 명칭이 행정지명으로 '대전천'= 대전천은 대전과 금산의 경계인 만인산에서 발원해 동구 일대를 흘러와 대덕구 오정동에서 유등천과 합류한다. 대전(大田)은 큰 밭, 넓은 밭을 의미하는데, 천변에 형성된 지형 조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대전천은 유성현 동쪽 25리에 있다"는 첫 기록이 발견됐다. 이후 '대동지지'나 '동여도', '청구도', '대동여지도'에서는 관전천(官田川)이라는 이름으로 확인된다. 대전천의 경우 하천을 지칭하던 이름에서 '1872년지방지도'에서 처음으로 산내면 대전리라는 행정지명으로 등장해 현재까지 '대전'이라는 이름의 연원을 담은 최고(最古)의 문헌 기록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세종 원년 1455년과 예종 원년 1469년 지리지 편찬령이 하달됐지만 지연되다가 성종 8년 1477년에야 지리지가 완성되는데 '팔도지리지'다. 성종의 뜻에 따라 '팔도지리지'에 문사들의 시문인 동국시문을 모아 첨재해 완성한 것이 성종 12년 '동국여지승람'이다. 이후 성종과 연산군 시대의 수교를 거치고 새롭게 증보돼 중종 26년 1531년'신증동국여지승람'이 완성됐다. 이 기록에는 계족산과 식장산, 질현, 동자암현, 이원진, 갑천, 계족산봉수, 정민역, 미륵원, 덕창원, 총술원, 형지원, 계족산성을 비롯해 주요 지역의 명칭이 등장한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