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미래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원 |
최근 들어 세계 각국의 전력과 난방, 운송과 교통을 책임지는 석탄과 석유·가스 가격이 빠른 속도 상승하면서 글로벌 에너지 위기가 가시화되고 있다. 2019년 말에 시작된 코로나19의 확산이 어느 정도 진정되는 추세고 위드 코로나와 경기 회복이 본격화되면서 늘어나는 에너지 수요에 공급이 따라가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국제 석탄 가격은 13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고, 국제 유가도 2014년 10월 이후 7년 만에 최고치다. 천연가스도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LNG 수입 세계 3위인 우리나라도 비상이다.
에너지 가격 상승은 흔히 경기침체를 불러온다. 에너지를 많이 쓰는 전기나 식료품 등 각종 상품 가격에 고스란히 반영돼 물가를 높이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소비와 생산이 동반 허락하고 경기가 다시 침체하는 이른바 스태그플레이션의 가능성이 커진다. 전 세계가 긴장하고 있는 이유다.
중요한 것은 이번 에너지 위기를 바라보는 과거와는 다른 시각이다. 세계 각국이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탄소중립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화석연료 에너지를 대체할 만큼 재생에너지 개발기술과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지 못하면서 에너지 위기가 심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다시 말해 전 세계는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첫걸음도 떼기도 전에 거대한 에너지 위기에 봉착한 것이다.
실제로 현재 유럽에서 전기요금이 급등한 배경에는 천연가스 공급이 줄어든 점도 있지만, 북해의 바람이 잠잠한 탓에 풍력 발전량이 크게 준 것이 결정적이었다. 심지어 탄소중립을 위해 2024년까지 석탄발전소를 모두 폐쇄하겠다던 영국은 이달부터 노후 석탄발전소를 재가동했다. 유럽연합 중 청정에너지 비중이 높은 국가로 꼽히는 스웨덴 역시 화력발전소를 지난 2주 동안 꾸준히 가동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총발전량의 70% 이상을 원자력에 의존하면서도 탈원전을 선언했던 프랑스 역시 빠른 시일 내에 신규 원전 프로젝트에 투자를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0년 동안 풍력과 태양광 생산량은 급증했다. 하지만 재생에너지의 원천인 바람과 햇빛은 변덕스럽다. 게다가 가스나 석탄과 달리 효율적으로 전력을 저장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결국 재생에너지로의 완전한 전환에 이르기까지는 수십 년이 걸릴 수 있다는 전망과 과도기 동안 여전히 화석연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현실을 간과해서는 안 되는 이유를 우리는 목도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다시 화석연료로 돌아가자는 얘기는 절대 아니다. 기후 위기는 전 인류에게 닥친 현실이자 완전한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은 필수적인 과제다. 다만 무조건적이고 급진적인 탈(脫)화석연료 기치가 아닌 유연하고 선순환적인 에너지 정책을 통해서 다가온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한 일본은 석유가스 자주 개발 비중을 2019년 34% 수준에서 2040년 60%까지 높이고 메탄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한 자국 내 자원개발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단순히 이웃나라의 선언적 정책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에너지자원 빈곤 국가인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재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미래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