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in 충청] 대전 인구 감소세 2037년까지 지속된다… 자치구별론 유성구 제외 모두 감소

  • 정치/행정
  • 대전

[데이터 in 충청] 대전 인구 감소세 2037년까지 지속된다… 자치구별론 유성구 제외 모두 감소

2017년엔 152만 8000명이었으나 지속 감소세로 인해 2037년 140만 5000명으로 예측돼
자치구별 대덕구 20.2%, 동구 13.6%, 중구 10.7%, 서구 7.1% ↓ 반면 유성구만 2.3% ↑

  • 승인 2021-10-22 15:51
  • 수정 2021-10-30 16:39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컷-데이터인충청
대전 인구가 2014년 155만 3000명으로 정점에 도달한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2037년이면 140만 5000명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특히 자치구별로는 2037년까지 유성구를 제외하고는 인구 감소를 예상했지만, 유성구도 2031년 37만 6000명으로 정점에 이른 후 감소세로 돌아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대전시가 발표한 '대전광역시 자치구별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출생과 사망, 인구 이동에 대해 현재의 가정이 지속한다면 미래 대전인구는 감소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대전은 2017년 152만 8000명에서 20년 후엔 8.1%가 감소해 2037년 140만 5000명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예상했다.

인구-1
그래픽=한세화 기자
자치구별로 감소 폭이 가장 큰 곳은 대덕구로 조사됐다. 대덕구의 2017년 인구는 19만 1000명이었으며, 2037년 인구를 예측한 결과 15만 2000명으로 3만 9000명이 줄어든다. 비율로만 따지면 20.2%가 감소하는 수치다.



대덕구를 이어 두 번째로 감소 비율이 높은 자치구는 동구다. 동구는 2017년 인구가 24만 1000명이었다. 2037년 예측 인구는 20만 8000명으로 3만 3000명이 줄어든다. 비율로 계산하면 13.6%가 낮아지게 된다.

세 번째 인구 감소 비율이 높은 곳은 중구로 나타났다. 중구의 2017년 인구는 24만 4000명이었으나, 2037년 예측 인구수는 21만 8000명이다. 총 2만 6000명이 줄어들어 10.7%가 감소할 전망이다.

제일 감소 비율이 적은 곳은 서구로 예측된다. 서구의 2017년 인구는 48만 8000명이었으나 2037년 미래 서구 구민은 45만 4000명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3만 4000명(-7.1%)이 줄어든 셈이다.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는 지역은 유성구지만, 유성구 역시 다시 감소세로 들어설 것이라 분석되고 있다. 하지만 2017년 인구보단 2037년 인구가 더 많은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2017년의 유성구민은 36만 4000명이나 2037년엔 37만 2000명으로, 약 8000명(2.3% 증가)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같은 결과는 출생·사망에 따른 자연증가율이 마이너스로 접어들 수 있다는 예상이 있기 때문이다. 출생·사망에 따른 대전의 자연증가율은 2018년 0.12%의 증가율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자연증가를 보이다가 2032년부터는 사망자가 출생아보다 많아지는 마이너스 자연증가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결국 대전의 인구는 2017년 대전 인구가 서구와 유성구, 중구, 동구, 대덕구 순이었고, 20년 후인 2037년도 같은 순위를 유지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인구-2
그래픽=한세화 기자
뿐만 아니라 대전의 초고령사회 진입 시기도 가파르게 다가오고 있다. 대전의 초고령사회 진입 시기는 2027년으로 예측하고 있다. 2017년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이 대전 평균 11.6%에 머물었던 수준이 가파르게 증가해 2037년에는 유성구와 서구를 제외한 자치구에선 고령 인구가 30%를 초과할 전망으로 조사됐다.

지속적인 기대 수명의 증가로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2017년 17만 7000명(11.6%)에서 2020년 베이비붐 세대가 65세 이상 고령 인구에 진입하는 시점 이후 고령 인구 비중이 가파르게 증가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자치구별 장래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은 각각 다른 것으로 파악됐다. 가장 빠르게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는 자치구는 중구다. 중구는 2021년에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게 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어 동구가 2023년, 대덕구가 2025년, 서구가 2029년, 유성구가 2034년이 순으로 나타났다.
김소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2.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3.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