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
특히 변동금리 비중이 80%에 달해 향후 대출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면 가계는 물론 우리나라 경제에도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1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따르면 지난 1분기 신규 주택담보대출자(은행·비은행) 중 신용대출 동시 차입 대출자 비중은 41.6%로 집계됐다. 2012년 2분기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 수준이다.
부동산 과열로 아파트 가격이 고공행진 하자 실수요자들이 무리해서라도 대출을 늘려 내 집 마련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대출액 기준 신용대출 동시 차입자의 신규 주택담보대출금액은 전체 주담대의 47.3%에 달한다.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을 모두 끌어쓴 경우도 적지 않았다.
집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주택담보대출만으로 주택을 매매할 수 없는 처지에 놓였기 때문이다.
1분기 신규 주택담보대출자의 8.8%는 앞서 전세자금대출이 있거나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을 같이 받았다.
주택담보대출 금액별로는 주담대 5000만 원 이하가 31.3%로 가장 많았다. 5000만 원에서 1억 원은 26.6%, 1~2억 원은 24.1%였다.
기준금리 인상 등에 따라 대출 이자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대출자 1인당 연이자 부담은 지난해 말 271만 원에서 301만 원으로 30만원 올랐다.
특히 대출 규모가 큰 고소득자(소득 상위 30%)의 이자가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43만원(381만원→424만원) 늘었다. 취약자주 이자도 53만원(320만원→373만원) 급증할 것으로 예상 됐다.
기준금리 인상 등에 따라 하루가 다르게 상승하는 대출금리는 걱정거리다. 특히 변동금리 비중이 80% 달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지난 6월 변동금리 비중은 81.5%로 2014년 1월(85.5%) 이후 7년 5개월 만에 최대치다.
시중 은행들이 전날부터 적용한 주담대 변동금리는 연 3.031~4.67%로 수준으로 기준금리가 인상된 지난 8월과 비교하면 두 달도 채 안돼 0.41~0.48포인트 올랐다.
다음 달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시되면서 향후 대출금리는 더 오를 것으로 전망돼 선제적 부채관리가 시급한 상황이다.
윤창현 의원은 "가계부채 문제의 경우 부실의 고리를 정확하게 짚어내는 '핀셋' 접근법이 효과적"이라며 "특히 금리 상승기에 다중채무자가 가장 취약한 부분인 만큼 보증연장, 대환 대출, 채무 재조정 등 다각적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역 금융권 관계자는 "미국 등 주요국의 인플레이션 우려가 높아진 데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는 현재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오를 수밖에 없다"며 "지금부터라도 리스크를 관리하지 않으면 위기가 올 수 있다.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우려했다.
박병주 기자 can790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