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재명 판소리학자가 판소리를 이루다시피한 유서깊은 중고제 명가문 김성옥 일가를 표현한 설치미술 2016년 작품.상단 왼쪽부터 김성옥 명창과 그의 아들 김정근 명창 모습 초상화.중단 왼쪽부터 김정근의 아들 김창룡 명창과 김창진 명창 모습.하단 왼쪽부터 김창룡의 아들 김세준 명고수와 김세준의 딸 김차돈 명창 모습.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
판소리의 첫 시작은 여러 설이 있다. 불교의 범패에서 시작됐다는 설과 무속인의 음악에서 시작됐다는 설 등이다. 실제 불교적 성음과 무속인 음악 등이 판소리에 녹아있다.
불교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이렇다.
판소리 심청가 중 '배는 고파' 대목에서 불교적 음악요소를 엿볼 수 있다. 추운 겨울 장승상 부인 집에 갔던 심청이가 밤이 되도록 돌아오지 않자, 심봉사가 심청이를 애타게 기다린다. 심봉사는 집 앞 개천까지 나와, 심청이를 기다리던 중 개울가 물속에 빠지고, 몽은사 화주승이라는 스님이 심봉사를 물속에서 꺼내준다는 대목이다. 이때 스님이 등장하는 장면 등이 불교적 요소를 갖고 있다. 창자는 이 대목에서 스님처럼 염불을 왼다. '아아~ 오오~ 의의의~ 아아아~' 등이다. 장단은 엇몰이다. '스님'이라는 특수성, 뜻밖의 인물이 출현하기 때문에 정박에서 벗어난 엇박자를 사용했다.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관장(국악학자)은 저서 <명창의 증언과 자료를 통해본 판소리 참모습>(2006년) 등에서 이러한 의견을 피력한 바 있다.
노 관장에 따르면 춘향가의 만복사 찾아가는 대목에 염불 가사가 담겨있다. 심청의 환생은 불교의 윤회를 기반으로 하는 내용이다. 판소리 명창들이 자주 가는 판소리 독공 산 공부 장소는 주로 사찰 중심이라는 점도 판소리와 불교의 밀접한 관련성을 잘 보여주는 삽화라고 할 수 있다. 오래전부터 판소리 명창들이 득음을 위해 잡가, 굿 노래, 정가 등 가림 없이 섭렵했다. 또 깊은 역사와 차원 높은 창법을 지닌 불교 성악에서도 자연히 호기심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박송암, 문구암 스님은 범패가 판소리 음악에 많은 영향을 줬다고 했다. 실제 비교해 봐도 범패의 창법, 저음 단전 성음 등은 이동백·김창룡의 중고제 판소리 녹음과 유사한 점이 발견된다. 가왕 송흥록은 백운산 월광선사에게, 이동백은 진주 리곡사 옥천암에서 옥천대사에게 염불 공부를 했다는 기록이 있다.
KBS 방송작가 출신의 조수연 대표가 강경에서 운영 중인 옥녀봉예술촌. 조 대표는 이곳에서 강경 출신 김성옥 명창 일가의 가무악 관련 공연과 전시 등 여러 행사를 계획하고 있다. |
따라서 무속인들의 굿소리가 판소리로 이어지거나 발전됐다는 설이 현재까지 전해져 오고 있다. 실제 초기 판소리 명창들의 출생지는 충남 서천 등 바닷가 인근이다. 또 명창들의 출생지도는 충남 해안가에서 내륙지역인 공주까지 폭 넓게 그려지고 있다. 그만큼 충남지역은 초기 판소리의 성지였다. 충남지역은 판소리 명창을 낳았다. 먼저 김성옥 명창이다. 충남 논산 강경읍(1931년 4월 읍으로 승격) 출신인 김성옥은 조선 순조시대 인물이다. 김성옥은 강경읍에서 성장한 뒤, 전북 익산시 여산면으로 이거한다.
'조선창극사' 21페이지를 보면 김성옥이 송흥록의 매부라고 돼 있다. 김성옥이 여산면에서 살 때, 송흥록 가문인 '여산 송씨'와 혼사가 이뤄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보형 국악학자는 이런 조사 의견을 낸 바 있다. "송흥록의 매부가 근대 5명창 김창룡의 할아버지인 김성옥이다. 김성옥이 논산시 강경읍에 살았는데, 강경과 웅포(전북 익산시 웅포면)가 아주 가까운 것으로 봐서, 송흥록이 웅포에 살았다는 것은 확실한 것 같다."
특히 김성옥은 진양조 장단을 처음 발명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리고 김성옥이 창안한 진양조를 송흥록, 송광록 형제가 듣고 발전시켰다. 1930년 11월 26일자 '매일신보' 국창가수의 고금록-김창룡 기사와 정노식의 '조선창극사'를 보면 송광록은 본래 김성옥의 판소리 고수였다고 밝히고 있다.
노재명 판소리학자는 "지금도 강경 젓갈이 유명하듯 논산 강경은 농·수산물 등의 풍부한 시장이 형성됐다"며 "교통물류 등이 활발해 많은 인파가 몰렸고 그래서 자연히 풍류가 발달해 판소리 명창들도 운집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