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플라스틱을 분리배출 해야 한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까다로운 배출 방법으로 대부분 일반쓰레기로 버려지고 있다. 그 일례가 컵라면 용기다. 컵라면 용기는 대부분 플라스틱이지만 국물이 묻어 오염이 심한 경우에는 플라스틱이 아닌 일반쓰레기로 분류된다. 게다가 세정력이 강한 주방 세제로 닦아도 국물이 잘 지워지지 않아 대부분의 컵라면 용기가 재활용이 되지 않는다.
컵라면 용기에 흡수 된 국물 자국을 지울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그 방법은 정말 간단하다. 건더기 없이 용기를 잘 세척한 후 3일 정도 햇볕 아래에 놓고 말려 주기만 하면 된다. 라면 국물에는 캡산틴이라는 색소가 있는데 빛에 민감하다는 특징이 있어 햇볕으로 말리는 순간 색소들이 빛에 의해 분해돼 국물 자국이 없어지는 것이다.
![]() |
코팅된 종이 재질과 플라스틱 재질의 컵라면 용기를 준비했다. 김지윤기자 |
![]() |
회사 사무실 중 가장 햇빛이 잘 들어오는 곳에 컵라면 용기들을 두고 기다려 봤다. 김지윤기자 |
먼저 준비한 컵라면 용기는 코팅이 된 종이 재질과 플라스틱 재질 두 종류를 준비했다. 준비 전 다 먹은 용기들을 주방 세제로 깨끗하게 닦아줬다. 역시나 세척이 끝났음에도 여전히 용기 전체에는 빨간 국물 자국이 가득했다. '정말 햇볕에 말리기만 한다고 국물 자국이 사라질까?' 반신반의해 하며 세척이 끝난 용기를 햇볕이 잘 드는 사무실 한 켠에 놓아놨다. 약 3시간이 지나고 국물 자국이 얼마나 없어졌는지 확인해봤지만 그 전과 특별히 달라진 점은 없었다. '안될것 같은데'라며 실패 불안감은 더욱 커졌다.
![]() |
실험 5시간 경과했을 때 아직까지 아무런 변화가 없다. 김지윤기자 |
또 다시 3시간이 지나고 퇴근하기 전 다시 한번 확인해 봤지만 여전히 차이점을 모를 만큼 변화가 없었다. 밤이 돼 해가 지고 어두워지면서 햇볕이 들지 않아 내일을 기약하며 일단은 퇴근길에 올랐다. 처음 실험한 시간은 전날 오전 10시. 24시간이 지난 후 국물 자국은 어떻게 됐을까. 전 날에 한번 실망을 했기 때문에 이번에도 안됐겠지라는 마음으로 컵라면 용기가 놓여진 곳으로 향했다.
먼저 플라스틱으로 된 용기를 집어 확인했는데 전날보다는 그래도 국물 자국이 좀 연해진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다른 용기를 확인한 결과 정말로 국물 자국이 눈에 띌 만큼 지워져 있었다. 혹시나 누가 닦아 놓은 것은 아닌지 동기들과 선배들에게 물어봤지만 아무도 건들지 않았다고 했다. '이게 된다고?' 전날 의심에 가득 찬 상태로 시작했지만 어느 순간 기대감에 부풀어 올랐다.
![]() |
실험 시작 후 26시간 뒤 컵라면 용기를 확인해 보니 얼룩 자국이 거의 다 사라져 있었다. 김지윤기자 |
빨리 국물 자국이 지워지기를 바라며 햇볕이 잘 들도록 각도를 맞춰놓고 다시 용기를 내려 놓았다. 오전 10시에 확인한 후 7시간이 지나 마지막으로 용기 상태를 확인했다. 용기를 집어드는 순간 정말 신기할 정도로 국물 자국 대부분이 지워져 있었다. 아직 자국이 조금 남아있긴 했지만 하루 정도 더 말리면 완전히 지워질 듯 했다.
정말 햇볕에 말리는 것 말고는 아무것도 한게 없는데, 국물이 없어지다니 이번 실험은 말 그대로 대성공이었다.회사 동료들도 국물이 지워진 용기를 보고 신기해하며 한번 따라 해 봐야겠다고 할 정도였다.
지금까지 국물로 오염된 컵라면 용기를 일반쓰레기로 버리면서 양심의 가책을 느꼈는데 더 이상 그러지 않아도 될 듯 하다. 잘 세척만 하면 냄새가 나지 않아 벌레가 꼬일 걱정도 없고, 급하게 쓰레기통을 비워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3일 정도 여유를 가지고 충분히 일상에서도 가능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