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 부산물과 무청 등 푸성귀에 게국을 넣어 끓인 음식
한번 먹으면 감칠맛과 시원함에 중독성 있어 다시 찾아
게국지 |
태안반도를 비롯한 바닷가에서 생활하고 있는 주민들의 식생활에 중요한 식재료는 소금과 생선이다. 주요 생활 터전인 바다에서 잡히는 수많은 생선과 갯벌에서 생산하는 소금을 활용해 만든 발효음식 중에 하나인 다양한 젓갈이 음식의 맛을 돋우는 역할을 하고 있다.
과거에는 식품의 보관과 저장을 위한 냉장,냉동기술이 없었고 운송 수단이 발달하지 못해 겨울을 제외하고 수산물의 보관을 위해 염장을 해야 했다. 다른 지역에 비해서 소금이 풍부했던 태안에서는 소금을 뿌린 생선을 말려 포를 만들거나 젓갈을 만들어 오랫동안 먹을 수 있었지만, 이런 과정에서 발효돼 맛을 좋게 하는 조미료의 역할도 했다.
예로부터 태안은 전국적으로 질 좋은 소금을 생산하는 지역으로 해안가 특유의 염장 문화와 발효 문화가 발달했다. 태안의 염장 음식으로는 게국지, 간장게장(소금게장-원래 해안가에서는 소금에 절인 게장이 주를 이루었으나 후에 간장게장으로 발전했다), 우럭젓국, 어리굴젓 등을 비롯하여 각종 젓갈류와 다양한 생선포 등이 있다.
특히, 게국지와 간장게장, 우럭젓국은 해안가를 대표하는 음식으로 이 중에서도 ‘게국지’ 는 제대로 된 재료가 아닌 허드레 재료로 만드는 재활용 서민 음식이다. 먹거리가 넉넉하지 못하고 소금도 귀했던 시절 각종 요리와 식자재에서 나오는 부산물을 모아서 만든 음식이면서 지역의 맛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최근 인기 만점이다
게국지 |
게국지는 가을철 김장을 하고 남은 배춧잎이나 무청, 푸성귀 등 김장재료를 절이고 씻는 과정에서 떨어져 나온 거친 잎사귀에 호박을 숭숭 썰어 넣고, 갈아 놓은 고추 등을 버무린 다음에 간을 맞출 때 ‘게국’을 사용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 게국지다.
해안가 사람들은 갯벌에서 잡히는 능쟁이(학명 칠게)나 황발이(학명 농게)를 이용해 간장게장을 담그는데 이때 소금물이나 간장을 다려 넣었다.
이렇게 만든 게장을 다 먹은 후에도 또다시 게장을 담을 때 먼저 사용한 소금물(간장)을 버리지 않고 여러 차례 재사용하는데 몇 번을 다리는 과정에서 졸아서 남은 끈적끈적해진 국물을 게국이라고 불렀다.
게국지는 채소를 소금에 절이지 않고 게국을 넣어서 대충 버무려 만든 다음 찌개처럼 끓여서 먹는데, 처음엔 쿰쿰하고 짠 냄새가 어우러지면 유쾌하지 않은 냄새를 풍긴다. 하지만 냄새와는 달리 몇 번 먹어 보면 게국지의 감칠맛과 시원함에 중독성이 있을 정도로 다시 찾게 되는 음식으로 자주 먹어도 질리지 않는다. 또 게국지의 간을 맞출 때 게국과 함께 가을철에 잡히는 잡어와 상품성이 떨어지는 꽃게, 박하지 등을 삭혀서 만든 젓갈을 넣기도 했다.
요즘에는 게국지가 향토 음식으로 많은 사람들의 찾으면서 특유의 쿰쿰한 냄새가 나지 않도록 꽃게와 배추 속 등 신선하고 질좋은 재료들을 사용하고 짠맛을 줄여 태안을 비롯한 충남 서북부 지역의 대표적인 토속 음식으로 거듭나고 있다.
태안=김준환 기자 kjh41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