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심사 결과를 이달 발표할 것으로 보이는데, 더는 미룰 수 없다는 분위기 속에서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사업 추진력에 힘이 실릴지가 관건이기 때문이다.
대전시와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융복합 특수영상 콘텐츠 클러스터 예타는 이미 1년 6개월가량 지연된 상태다. 코로나19와 맞물리면서 기업 수요조사가 제때 이뤄지지 못한 것이 원인인데, 올해 상반기 온·오프라인 수요조사를 완료했다. 이후 기재부 분과위원회가 종료됐고, 10월 말 재정평가위원회 최종 심의·의결만이 남았다.
특수영상 도시를 선언한 대전은 타 도시와는 차별적인 전략을 내세운 만큼 예타 결과는 긍정적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기재부의 확답이 나올 때까지는 낙관해선 안 된다는 입장이다.
이달 사업성을 평가하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 대전시는 2022년부터 본격적인 클러스터 증축에 들어갈 전망이다. 지상 10층, 지하 4층 규모로 엑스포과학공원 유휴부지 3만5280㎡에 구축한다. 사업비는 총 1476억 원을 투입한다.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관계자는 "특수영상은 대부분 컴퓨터그래픽(CG) 후반 작업을 떠올리는데, 대전은 대덕특구 R&D 기술력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결합해 촬영 전반부에 쓰이는 새로운 특수영상 기술을 만들고자 한다. 장비 위주가 아닌 소품용 로봇인 애니메트로닉스처럼 기술 위주의 특수영상 산업을 구축할 것이 대전의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부산과 대구, 수도권은 이미 특수영상 관련 산업으로 입지를 굳힌 도시다. 대전시는 기반이 완비된 타 시·도의 방식을 따라가지 않고 상위 버전의 특수영상 산업을 선도하겠다는 취지다. 기재부에도 대전의 특수영상 차별성을 어필했고 사업성이나 정책적인 면에서는 긍정 신호를 받았다는 전언이다. 경제성 분석에서도 문제가 없어 사실상 예타 통과 여부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진흥원 관계자는 "기재부나 외부평가에서도 대전이 이 사업을 왜 하느냐에 대해 타 도·시와는 다름을 인정하고 있다. 대전에서 영상산업을 하려면 대덕특구의 R&D 기술력을 제외하고는 추진할 수 없다는 점을 간파한 차별적인 전략이 사실상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향후 융복합 특수영상 클러스터가 조성되면 대전은 R&D 기술력이 접목된 특수영상 촬영기술을 만들고 보급화에 주력할 전망이다. 한편 대전시는 지난 6월 특수영상 메카를 위해 국내 영상제작사 6곳과 협약을 체결하며 예타 통과 이후를 준비해 왔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