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2명 중 1명은 코로나 19 이후 책을 읽는 시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니 말이다. 이는 사회적 거리 두기의 영향으로 디지털 매체 및 종이책 등을 통한 독서가 활성화됐다는 것이다.
이용이 증가한 읽기 매체는 주로 디지털과 인터넷 기반 매체로 ▲인터넷 정보 71.2% ▲인터넷 신문 51.7% ▲웹툰 이용 37.1% ▲웹 소설 이용 24.7% ▲전자책 이용 23.4% 등이었다고 한다.
종이책의 경우 코로나 이후 이용 증가가 21.8%, 이용 감소가 12.0%로 다소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했다. 그러니까 살벌한(?) 코로나 시대에 국민은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바깥 활동과 만남이 큰 제약을 받는 대신 더 많은 책을 읽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여하튼 여전한 코로나 상황에서 '미뤄두고 읽지 못했던 책을 읽게 됐다'는 응답자가 30.3%로 나타났다는 건 대단히 고무적인 현상이다. 또 '책 읽는 시간이 늘었다' 28.1%와 '책에 집중하고 내용을 이해하는 능력이 높아졌다' 25.4%, '분량이 많은 책을 읽게 됐다' 21.7% 등으로 독서량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작가의 입장에서도 흐뭇한 뉴스로 다가왔다.
요즘 뉴스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이다. 연일 난타전을 벌이고 있는 정가는 급기야 이른바 '50억을 받았거나 받기로 약속한 그룹 6명'까지 실명을 공개하기에 이르렀다.
당연히 정치권이 발칵 뒤집혔다. 이에 대해 거론된 당사자들은 "사실무근"이라며 강력한 민형사상 법적 조치를 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하여간 그들이 50억을 받았든 안 받았든 나하곤 상관없다.
나처럼 보잘것없는 무지렁이에게 50억은커녕 5만 원도 주는 사람은 없으니까. 다만 나는 50억보다 내가 더 부자라는 인식만큼은 불변하다는 것이다. 책이 가득한 서점이나 도서관에 가면 이런 긍정의 마인드는 더 요란한 범람의 강물이 된다.
이른바 '대장동 50억 약속그룹' 중 누가 진짜 50억을 받았는지의 여부는 수사 결과 전모가 드러날 것이다. 그렇게 되면 당사자는 지금 그야말로 교도소 담장 위를 걷고 있는 심정일 것이다.
담장 위를 걷고 있다가 언제 나락으로 떨어져 교도소 안으로 들어갈지 몰라 불안에 떨고 있다는 표현이다. 진부한 주장이겠지만 현직이든 은퇴자든 공직자는 청렴해야 했다.
특히 고위직일수록 자신의 일거수일투족을 거울에 비춰보는 제삼자의 관조적(觀照的) 고찰은 기본이어야 한다. 이게 무너지고 뇌물에 기우는 순간, 졸지에 '탐관오리'로 변질하고 추락하게 된다.
청백리(淸白吏)는 관직 수행 능력과 청렴(淸廉), 근검(勤儉), 도덕(道德), 경효(敬孝), 인의(仁義) 등의 덕목을 겸비한 조선시대의 이상적인 관료상이었다. 조선시대 당시 청백리는 총 217명이 배출되었다.
청백리가 되면 후손들에게 선조의 음덕을 입어 벼슬길에 나갈 수 있는 특전도 주어졌는데 음서제(蔭敍制)가 바로 그것이다. 다산 정약용은 "높은 자리는 과녁과 같아서 누구나 거기를 향해 활을 쏘고자 하니 항상 처신에 조심해야 한다"고 했다.
'목민심서'에서는 탐관오리를 일컬어 먹을 것이 보여야 기어가고 겁을 주면 움츠리고만 있다는 의미로 '자벌레'라고 폄훼했다. 마음에 드는 책을 사서 품에 안았다. 50억 이상의 만족감에 나도 모르게 행복했다.
홍경석 / 작가·'초경서반' 저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