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허균의 식탐, 이유 있었네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허균의 식탐, 이유 있었네

  • 승인 2021-10-06 10:31
  • 수정 2021-10-06 15:24
  • 신문게재 2021-10-07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우난순 수정
조선의 이단아이자 천재였던 허균도 식탐이 많았다. 그는 "나는 평생 먹을 것만 탐한 사람"이라고 호기롭게 말했다. 허균은 지방의 수령으로 부임할 때 윗사람에게 간곡히 부탁하곤 했다. 먹거리가 풍부한 곳으로 보내달라는 이유에서다. 한번은 황해도 배천이란 곳으로 발령나자 거기는 싫다며 차라리 가림(지금의 부여 임천)으로 보내달라고 떼를 썼다. 가림은 생선과 게가 많이 나는 곳이었다. 이렇듯 맛있는 걸 무지하게 밝힌 허균은 유배지에서 조선 최초의 음식 품평서 <도문대작(屠門大嚼)>을 썼다. <도문대작>은 전국 팔도의 토산품과 음식을 소개한 책이다. '도문대작'은 푸줏간 앞에서 입을 크게 벌려 고기 씹는 흉내를 내 식탐을 달랜다는 뜻이다. 선비들은 이런 허균을 잡스럽다고 비아냥댔지만 자유분방한 삶을 추구했던 허균은 아랑곳 하지 않았다.

허균의 고향 강릉은 초당 두부로 유명하다. '초당'은 허균의 아버지 허엽의 호다. 초당 두부는 허엽이 동해의 맑은 물로 간을 맞춰 만들어 먹었다는 얘기가 전해진다. 그 두부 맛이 소문 나 마을 이름을 아예 초당이라 붙였다고 한다. '초당할머니순두부' 식당은 역사가 40년이 됐다. 국산 콩과 바닷물 간수로 매일 아침 두부를 만들어 판다. 점심으로 먹었는데 째복(비단조개)을 넣고 끓인 얼큰째복순두부를 국물 하나 안 남기고 뚝배기 바닥을 박박 긁어 먹었다. 식품회사에서 만든 순두부는 푸딩처럼 미끈덩거려 씹는 느낌이 없다. 이 집 순두부는 고소하면서 몽글몽글한 것이 톱톱한 질감이 있었다. 얼큰하고 뜨끈한 순두부를 줄줄 나오는 콧물을 훌쩍거리며 퍼먹었다.

예전엔 명절이 오면 집에서 으레 두부를 만들었다. 농사지은 콩으로 넉넉하게 만들어 윗집, 아랫집에도 나눠주곤 했다. 그런데 두부는 만드는 품이 꽤 든다. 물에 불린 콩을 맷돌에 갈아서 천으로 된 자루에 넣어 꼬옥 짠 콩물을 가마솥에 넣는다. 그걸 오랜시간 뭉근히 끓이면서 엄마는 간수 넣은 대접으로 콩물을 떠 살살살 흔들어 순두부를 만드는 것이다. 하여간 하루종일 두부 만든 기억이 생생하다. 어린 나는 두부를 안 먹었다. 허연 것이 아무 맛도 안 나는데 왜 이렇게 힘들게 엄마는 두부를 만들까 이해가 안됐다. 이제 나이를 먹어 겨울이면 무릎이 시리네, 골다공증이 오네 하다보니 열심히 두부를 먹는다. 또 맛있기도 하고.



두부를 좋아한 부친처럼 허균도 두부를 좋아했을까. 과거에 급제해 벼슬길에 나선 허균은 전국에서 나는 별미를 먹어보는 복을 누렸다. 허나 타고난 식복과는 달리 허균의 삶은 평탄하지 못했다. 진보적인 사상과 거침없는 행동으로 권세가들의 눈밖에 나기 일쑤였다. 허균은 체면을 중시하는 사대부들과 엄격한 유교윤리에 염증을 느껴 서자와 천민 출신 예술가들과 스스럼없이 어울렸다.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형을 형이라 부르지 못하는 이깟 놈의 세상에 침을 퉤 뱉으며 박차고 나가 율도국을 건설한 홍길동이 괜히 나온 게 아니었다. 식욕을 억제해야 한다는 성리학의 주장을 부정한 허균의 식탐은 완고한 사회통념을 조롱한 행위 아니었을까.

후식으로 순두부젤라또를 달게 먹고 바닷가 백사장으로 달려갔다. 낮게 드리운 잿빛 구름 아래서 동해의 일렁이는 파도가 으르렁거렸다. 철썩철썩 쏴아. 쉬지 않고 무섭게 달려드는 파도가 아가리를 쩍 벌리고 허연 송곳니를 드러낸 맹수 같았다. 드넓은 바다를 넋 놓고 바라보며 인생사가 이런 건가 싶었다. 저 파도에 부딪쳐 앞으로 나아가거나 뒷걸음질 치며 물러나거나. 역동적인 파도에 몸을 실어 거친 물살과 함께 리듬을 즐기는 서핑이 멋져 보일 때도 있다. 환멸을 겪은 뒤에도 희망이 꿈틀거리다니.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허균은 검푸른 바다를 응시하며 바다 속 진미를 떠올리면서 입맛을 쩝 다시겠지? <지방부장>

KakaoTalk_20211006_08452424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