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키호테 世窓密視] 은행 열매보다 심한 악취 그들만의 리그에 참담

  • 오피니언
  • 홍키호테 세창밀시

[홍키호테 世窓密視] 은행 열매보다 심한 악취 그들만의 리그에 참담

냄새 지독한 나무는 벌목해야

  • 승인 2021-10-02 20:4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추석을 지나면서 완연한 가을로 접어들었다. 천고마비(天高馬肥)의 계절이 온 것이다. 가을은 색깔의 향연이다. 형형색색의 코스모스들은 아름다운 키 자랑을 하고 있으며 은행나무에서는 노란색의 열매가 익으면서 아래로 뚝뚝 떨어지고 있다.

그런데 은행잎과 달리 다 익은 은행은 특유의 고약한 냄새가 사람들을 괴롭힌다. 그건 은행의 구린내 때문이다. 마치 청소하지 않은 화장실처럼 역겨운 냄새가 고약하므로 은행나무 곁을 지나는 행인은 남녀노소 모두 코를 막아야 한다.

더욱이 바람이 불면 후두둑 떨어지는 은행 열매는 주차해둔 자동차에 흠집까지 낼 정도로 딱딱하다. 그럼 은행 열매에서는 왜 구린내가 나는 걸까? 은행의 열매는 암나무에서만 열리는데 고약한 냄새는 겉껍질의 과육질에 '빌로볼(Bilobol)'과 '은행산(nkgoic acid)'이 함유돼 있기 때문이다.

지독한 이 냄새와 더불어 은행 열매를 만지면 피부가 가려워서 사람 외에 다른 동물은 은행 열매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지자체마다 이에 대한 민원이 잦은 은행 암나무를 벌목하는 장면이 시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고약한 냄새로 인해 '공공의 적'이 된 것은 어디 비단 은행나무뿐일까. 경기도 성남시 대장동 개발사업에 투자한 천화동인(화천대유 관계사) 실소유주들이 수천억 원에 달하는 배당금을 받아 세인들에게 충격을 줬다.

또한 겨우(?) 6년간 취업했던 모 당 의원 아들은 퇴직금으로만 50억 원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 더욱 기가 막혔다. 과연 이들은 무슨 짓을 했길래 소액투자만으로 이른바 대박을 터뜨리는 '신의 한 수' 경지까지 올랐던 것일까.

이들은 이렇게 번 돈으로 또 다른 부동산에 투자하는 등 그야말로 투기의 귀재 면모까지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코로나 19의 장기화는 많은 국민을 절망의 골짜기로 내몰았다. 특히 소규모 자영업자는 견딜 재간이 없어 극단적 선택을 하기도 했다.

이런 참담한 현실에서 그들은 그들만의 리그를 구축하고 마치 '형님 먼저 아우 먼저' 식으로 불로소득의 달콤한 과실을 나눠 갖고 먹었다. 화천대유의 수상한 돈 잔치와 흐름은 요지경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김 모씨 아내와 누나는 화천대유의 자회사 격이자 투자사인 천화동인에 각각 872만원을 출자하고 무려 101억 원씩을 배당받았다고 알려졌다. 1046만 원을 투자한 지인은 121억 원을 받았다.

남 모 변호사는 8700여 만 원을 넣고 1007억 원을 챙겼다고 한다. 도대체 어떻게 만든 회사였기에 이런 말도 안 되는 화수분의 돈벼락을 맞았단 말인가! 이들의 '복마전'에는 내로라하는 정치권과 법조계 유력 인사들까지 줄줄이 관련돼 있어 국민적 의구심은 하늘을 찌르고 있다.

그들이 이러는 사이 대다수 국민들은 사상 최악의 부동산 가격 폭등과 전셋집 고갈 등의 악재를 맞아 숨이 넘어가며 휘청거렸다. 정부와 정치권이 부른 자업자득의 예정된 비극이었다.

이 사건이 터지기 전 우리 국민은 이른바 'LH 사태'로 이미 지칠 대로 지친 터였다. 특히 소상공인들은 코로나의 장기화로 인해 죽을 문턱까지 도달한 지 오래다. 그런데도 정부의 방역지침을 여전히 준수하면서 재기의 날을 모색해왔지만 이제 그런 꿈조차 버려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이것이 기회는 평등할 것이고 과정은 공정할 것이며 결과는 정의로울 것의 실체였단 말인가? 설령 특권과 반칙이 없는 나라는 어렵더라도 최소한 국민이 절망하게끔 만들어선 안 된다.

은행 열매보다 심한 악취를 풍기고 있는 천화동인과 화천대유에 대한 발본색원(拔本塞源) 차원의 특검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다. 냄새 지독한 은행나무는 벌목(伐木)이 답이다.

홍경석 / 작가·'초경서반' 저자

2021051301000775300030521
* 홍경석 작가의 칼럼 '홍키호테 世窓密視(세창밀시)'를 매주 중도일보 인터넷판에 연재한다. '世窓密視(세창밀시)'는 '세상을 세밀하게 본다'는 뜻을 담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1.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