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3년 시카고 엑스포에 8칸 규모의 기와집으로 참가했던 대한민국이 100년 만에 주최국이 돼 개최한 대전엑스포는 기념할 만한 엑스포였다.
|
대전엑스포를 입장하는 관람객들이 엑스포다리를 건너고 있다. |
전문엑스포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행사규모 및 질적인 면에서 어느 엑스포에도 뒤지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흥행에서도 관람객 1400만 명이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괄목한 성과를 내기도 했다.
|
아빠의 목마를 타고 구경하는 어린이들. |
그러나 인기를 끌었던 첨단 영상물들은 선진국의 의존도가 컸고 행사장 내 무질서와 부족한 시민의식 등은 개발도상국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기도 했다.
|
도우미들과 기념사진을 찍는 학생들. |
세계의 첨단과학에 굶주려 있던 관람객들은 말 그대로 대한민국의 중심 대전으로 몰렸고 몰려든 인파로 엑스포장은 갖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교통체증과 쓰레기를 비롯해 하루 만에도 100여 명이 넘는 미아발생 등은 대전엑스포가 열리는 93일 간 매일 발생했다고 보면 된다.
|
한빛탑 앞에 모인 관람객들이 행사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
대전엑스포의 인기는 오래가지 못했다. 폐막 후 엑스포가 열렸던 엑스포과학공원은 관람객들의 발길이 눈에 띄게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인기가 있었던 일부 전시관들은 미쳐 관람을 하지 못했던 관람객들이 찾아와 구경을 하곤 했다.
|
대전엑스포가 끝나고 과학공원 한 켠에 마련된 아쿠아리조트에서 어린이들이 물놀이를 하고 있다. |
|
엑스포과학공원에서 열린 모형 열기구대회 모습. |
|
한빛광장에서 열렸던 음악분수의 모습. |
|
엑스포과학공원 특별전시관에서 열렸던 인체의 신비 대전순회전. |
그 후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던 엑스포과학공원은 재창조사업을 맞아 한빛탑만 남기고 모두 철거됐다. 지금은 재창조사업도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
남녀노소가 함께 찾아와 즐겼던 대전엑스포. 관람객들이 공연을 보며 즐거워하고 있다. |
인류사회의 새로운 꿈과 희망을 제시했던 대전엑스포가 개최 된지 30여 년이 다가오고 있다. 당시 획기적이었던 과학기술은 이미 현실화된 게 많다. 성대하고 성공적이었던 대전엑스포의 영광이 재창조사업을 통해 다시 실현되기를 기대해본다. 이성희 기자 token7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