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한세화 기자 |
공공기관 홍보물 10% 가까이가 여전히 여성은 분홍색 옷과 치마 정장,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존재로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우울감이나 스트레스 인지율도 남성에 비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4년 전보다 전반적인 안전지수는 떨어져 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한세화 기자 |
대전세종연구원이 2020년 발간한 '통계로 보는 대전여성가족의 삶'에 대전시민 중 여성 비율은 지난 2019년 현재 149만8839명 가운데 49.9%를 차지하는 74만7254명이다. 여성 인구는 지난 1995년 62만8525명에서 2015년 75만8997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다 2019년 74만7254명으로 다소 감소했다. 여성 인구비율은 1995년 49.7%에서 2019년 49.9%로 소폭 증가했다. 여성 인구 증가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는 남성에 비해 낮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2000년 45.7%를 기록했던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19년 현재 52.0%로 다소 늘었으나 남성 70.9%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한세화 기자 |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도 여성기초생활수급자(55.0%)가 남성(45.0)에 비해 높았으며 여성기초생활수급자는 2년 전보다도 5.6% 증가했다. 이 같은 경제적 어려움은 나이가 많아질수록 더욱 심화됐다. 대전 1인 가구 소득에 대한 만족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낮았으며 60대 이상 여성이 2.86점으로 가장 낮았다. 노후준비를 하고 있거나 되어있느냐 질문에도 여성이 남성보다 낮았으며 60대 이상 여성이 44.1%로 가장 낮았다.
수명이 길어질수록 여성 혼자 사는 1인 가구 비율도 높아졌다. 통계청의 인구 총조사 자료에 따르면 대전 시민 가운데 여성의 1인 가구 비율은 2019년 현재 44.9%로 남성(25.7%)보다 현저히 높은 가운데 연령대별 1인 가구 비율은 대학에 재학 중인 10대와 20대에서 97.4%, 80.3%를 기록하다, 50대 33.6%로 떨어진 후 60대 52.4%, 70대 이상 67.5%로 높아지고 있다.
그래픽=한세화 기자 |
2019년 질병관리본부의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에 따르면 우울감 경험률은 여성이 5.8%로 남성(2.7%)보다 두 배 이상 많은 것으로 집계된 가운데 여성의 스트레스 인지율도 여성은 24.2%, 남성은 23.2%로 집계됐다. 대전지역 여성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지난 2010년 28.4%에서 2016년 30.8%로 정점을 찍은 뒤 2018년 27.5%, 2019년 24.4%로 2년 연속 남성(25.5%, 23.3%)을 추월하고 있다.
청소년들만 놓고 봐도 남녀 차이는 크게 나타났다. 통계청의 '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에 따르면 여학생 가운데 2명 중 1명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기도 했다. 평상시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또는 '많이 느낀다'고 답한 대전지역 여학생은 2019년 현재 50.8%로 집계된 반면, 남학생은 35.5%에 불과했다. 여학생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2010년 47.8%에서 2019년 50.8%로 절반을 넘어 섰으나, 같은 기간 남학생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38.0%에서 35.5%로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안전지수도 점차 낮아지고 있다. 2019년 행정안전부 지역안전지수에 따르면 대전의 경우 감염병을 제외한 모든 분야(교통사고, 생활안전, 화재, 자살, 범죄)의 지역안전지수가 4등급으로 2015년 이후 점차 떨어져 낮은 등급을 기록했다. 대전 1인 가구 여성의 범죄두려움도 남성에 비해 큰 것으로 집계됐다. 대전시사회조사 자료에 따르면 범죄 피해에 대한 두려움도 여성 1인 가구의 44.0%가 두렵다고 응답한 반면 남성1인가구는 12.1%에 불과했다. 1인 가구 여성 절반 이상(53.8%)이 밤에 혼자 동네 골목길을 걸을 때 두렵다고 응답했다. 반면 남성은 12.6%만 두려움을 느낀다고 답했다.
그래픽=한세화 기자 |
남녀평등과 젠더 감수성 강조에도 불구하고 여성스러움을 강요하는 사회적 인식과 이로 인한 스트레스를 느끼는 여성도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의 '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에 따르면 체질량 지수 8500분위 수 미만 학생 중 자신이 살이 찐 편이라고 인지한 학생은 32.6%로 남학생(15.9%)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여학생의 신체 이미지 왜곡 인지율은 2010년 37.3%에서 2018년 30.3%, 2019년 32.6%로 30%대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남학생의 왜곡 인지율은 2010년 22.7%에서 2019년 15.9%로 크게 감소했다.
전국 평균(2019년 현재, 29.8%)과 비교해도 대전지역 여학생의 왜곡 인지율은 높은 편이다. 하지만 공공기관의 젠더감수성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여성가족정책센터가 2020년 발간한 '성주류화전략 실천 정책 모니터링, 젠더 관점에서 살펴본 대전시 공공기관 홍보물'에 따르면 모니터링 대상이 된 대전시의 홍보물 764건 중 63건에서 시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가사와 육아 돌봄 역할, 서비스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은 여성으로,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은 남성으로 표현하는 등 성역할 고정관념을 강화한 내용이 다수였다.
이어 정책 대상자가 전체 시민에 해당됨에도 불구하고 과도하게 남성만 그려지거나 고령층이 배제된 이미지를 표현했다는 점도 지적됐다. 또한 '아빠+엄마+자녀로 구성된 가족 유형'만 표현해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를 강화하고 한부모 가족, 동거가족, 조손 가족 등 다양한 가족 형태는 배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