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 충청, 판을 바꾸자⑩] 충남 청년인구 추락 거듭... 주거·문화 선행 로드맵 나와야

  • 정치/행정
  • 충남/내포

[파워 충청, 판을 바꾸자⑩] 충남 청년인구 추락 거듭... 주거·문화 선행 로드맵 나와야

  • 승인 2021-09-29 17:15
  • 수정 2021-09-29 18:58
  • 신문게재 2021-09-30 4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파워 충청 판을 바꾸자

 

 

 

충남 청년인구 2018년부터 올 8월 현재 지속적 감소

전체 인구 중 청년 차지비율 매년 갈수록 쪼그라들어

청양 청년 비율 15.6%로 2018년보다 2.8%p 큰 감소세

청년 유출 막기 위해선 주거·문화 조화 이뤄져야 제안

 

 

충남 청년 인구가 급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최근 3년 새 15개 전 시·군 모든 지역에서 청년 인구가 주저앉고 있다. 청년 인구 감소는 곧 지역 소멸로 이어지는 만큼 일자리 제공 등의 단발적 정책이 아닌 문화와 주거 등이 선행된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29일 중도일보가 행정안전부의 연령별 인구현황을 분석한 결과 충남의 만19~만39세 청년 인구는 올 8월 기준 52만 2079명으로 전체 인구(211만 8183명) 중 24.6%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충남 청년의 인구 기준은 지난해 말 충남 청년 기본 조례 전부 개정안에 따라 만 19세~만39세로 적용했다.

충남 청년 인구는 해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56만 2003명에서 2019년 55만 513명, 지난해 54만 4445명, 올 8월 기준 52만 2079명으로 3년 새 3만 9924명이 줄었다. 이에 따라 전체 인구에서 청년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8년 26.4%에서 2019년 25.9%, 지난해 25.1%로 매년 쪼그라들고 있다.

지역 중 청양이 가장 큰 하락폭을 나타냈다. 청양의 올 8월 기준 청년 비율은 15.6%로, 2018년보다 2.8%P(1210명) 하락한 4752명이다. 당진도 이 기간 4만 4278명에서 3만 9387명으로 4891명이 줄면서 4만명 대의 숫자가 붕괴했고, 청년 비율은 2.7%P 줄어든 23.6%로 집계됐다. 청년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은 금산(15%)도 2.7%P(1780명) 하락한 7660명이다. 태안은 2.6%P(1893명) 줄어든 1만 118명(16.3%)으로 1만대를 간신히 유지하고 있으며, 부여는 2.2%P(2055명) 줄어들어 1만 명대가 깨진 9887명(15.3%)이 됐다. 서천도 2.2%P(1592명) 하락한 7324명(14.3%), 부여는 9887명(15.3%)으로 2055명(2.2%P) 줄어 만 단위 숫자가 무너졌다.

이어 서천은 7324명(14.3%)으로 1592명, 공주는 2만 944명(20.2%)으로 3221명 각각 줄어 2.2%p씩 줄었다. 보령은 1만 9138(19.3%)명으로 2709명, 아산은 8만 8949명(27.6%)으로 4207명 감소해 각 2.1%p 하락했다. 홍성은 2만 590명(20.7%)으로 2256명(1.9%P), 예산은 1만 68명으로 5048명(1.9%P), 논산은 2만 2393명(19.4%)으로 3176명(1.8%P) 떨어졌다. 계룡은 1만 93명(23.3%)로 849명(1.7%P), 서산은 4만 2520명(24.1%)으로 2397명(1.6%P) 줄었다. 인구가 밀집된 천안의 경우 3년 새 청년 인구가 5640명 줄었으나, 청년 비율은 1.4%P 하락한 31.2%로 15개 시·군 중 1위를 차지했다. 청년이 줄어드는 데는 '직업'이 가장 큰 사유로 작용한다. 충남도가 지난해 말 발표한 '충남 청년통계 보고서'를 보면 2019년 11월 기준 15~39세 전출 청년인구 12만 849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전출 사유로 33.9%가 '직업'을 가장 많이 꼽았다. 

 

직업에는 취업과 사업, 직장이전 등이 포함됐다. 전출 인구 중 30.2%가 거주하는 곳이 '경기도'로 집계됐다. 일자리 선택의 폭이 크고, 다양한 문화가 상대적으로 집약된 곳으로 젊은층이 빠져나가는 것으로 풀이된다. 때문에 지역 청년들의 유출을 막기 위해선 단편적인 일자리 정책과 지원보다 청년을 위한 '주거'와 '문화'가 적절한 조합을 이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김명숙(민주·청양) 충남도의원은 "충남은 천안·아산을 제외하고는 청년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없는데, 청년의 문화와 주거가 먼저 해결해야 하고 일자리는 그다음으로 생각해야 한다"며 "청년 정책은 일자리를 만들고, 월 얼마씩 지원해주는 등의 정책이 많았는데 청년이 어떤 문화를 원하는지 보고, 주거환경 조성을 통해 직장만 다니는 공간이 아닌 머무는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내포=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29일 대전 유성구 일대 정전…엘리베이터 갇힘 등 신고 24건
  3.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4. 중진공 충남청창사 15기 입교 오리엔테이션 개최
  5.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미공개 친필자료 담은 전자책 발간
  1. 천안문화재단, 천안예술의전당 전시실 대관 공모 신청 접수
  2. 천안고용노동청, 청년 취업지원 활성화를 위해 10개 대학과 업무협약
  3. 천안시도서관본부, '제61회 도서관 주간' 맞아 다채로운 행사 풍성
  4.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5.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헤드라인 뉴스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2023년 대형산불 발생에 대전과 충남 홍성에서 2년째 복구작업 중으로 이들 지역 산림 복구비용만 총 108억 원가량 투입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많은 복구비뿐 아니라 불에 탄 산림과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만 20년 이상이 걸리지만, 최근 10년간 충청권에서 발생한 산불 원인은 입산자의 부주의로 인한 '실화'가 가장 많았다. 30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2023년 4월 대전 서구 산직동 산불로 당시 축구장 약 800개 면적과 맞먹는 646㏊의 숲이 불에 탔다. 나무를 심어 숲을 복원하는 조림 등 인공복구가 필요한 37㏊에 대해 대전시와..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대전에 본사를 두기로 대전시와 협약을 맺은 한국소호은행(KSB)이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하면서 '대전에 본사를 둔 기업금융 중심 은행 설립'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금융위원회는 지난 25~26일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서를 제출한 4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심사에 착수한다. 민간 외부평가위원회 심사를 비롯해 금융감독원의 심사를 거쳐 오는 6월 중 인터넷은행의 예비인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번 인가전에 뛰어든 곳은 '한국소호은행'을 비롯해 '소소뱅크', '포도뱅크', 'AM..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 1일부터 우유와 맥주, 라면, 버거 등의 가격이 동시에 인상된다. 올해 이미 커피와 과자, 아이스크림 등이 오른 상태에서 다수 품목이 연이어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3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4월부터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맥주와 라면 등의 가격이 줄인상 된다. 우선 편의점에서는 4월 1일 오비맥주와 오뚜기 라면·카레, CJ제일제당 비비고 만두, 하겐다즈 아이스크림, 남양유업 음료, 롯데웰푸드 소시지 등의 가격이 오른다. 가정용 시장의 40% 이상을 차지한 오비맥주 카스는 병과 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

  •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