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 균형발전과 낙후된 원도심 개발 측면에서 당위성을 강조한 대전시가 사전 기술검토 용역 결과를 공유하며 유관기관의 협조와 참여까지 요청한 것으로 확인돼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다만 사업 추진 '마스터키'는 부지 소유자인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공사에 있어 향후 용역 결과에 따라 사업 추진의 향배가 갈릴 전망이다.
조차장 부지 활용은 올해 더불어민주당 박영순 국회의원(대전 대덕구)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회의에서 정부 2·4 대책으로 신규 공공택지 지정을 제안하면서 화두로 떠올랐다. 대전시도 2500세대의 복합단지를 계획했으나, 공공택지는 최종적으로 대덕구 상서동으로 확정돼 개발 계획안에 브레이크가 걸리기도 했다.
그러나 대전시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원도심 도시경쟁력 강화 업무 협약을 맺고, 대선공약 과제로 조차장 부지 활용을 선정하는 등 추진 의사를 적극 밝혀왔다.
조차장 부지 활용의 과제는 사업방식이다. 경부선과 호남선이 모두 지나는 대동맥 선로가 있고 차량 정비기지까지 있어 기존 철도 시설을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과제였다. 초창기 제안했던 선로 지하화는 조 단위의 비용이 필요하고 공사 기간 철도 운행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부정적 의견이 우세했다.
네이버 거리뷰와 항공뷰로 본 조차장 부지 모습. |
대전시 관계자는 "자체적으로 조차장 활용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술검토 사전 용역을 진행했더니 지하화가 아닌 기타 방식이라면 사업성이 높고 열차 운행과 선로 기술적 문제도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며 "지형 여건상 무리하게 지하화를 추진하지 않아도 가능한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전시는 추석 전 LH,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 등과 회의를 개최하고 공식 용역 발주를 제안했다. 그동안 추진 의지를 보여줬다면 구체적인 사업 구상에 들어가자는 신호탄을 쏘아 올린 셈이다.
시 관계자는 "당시 회의에서 LH와 철도공단도 긍정 입장을 보였으나, 부지를 소유하고 있는 철도공사는 내부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했다"며 "빠르면 10월 또는 11월 추가 회의를 진행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용역을 진행한다고 해도 용역비 분담, 조차장 부지 내 건물 이전, 부지 매입비 등이 과제로 남는다. 지하화 대신 데크 형태로 간다면 선로 외 차량정비기지 등은 제3 지역으로 옮겨가야 하는 상황으로 이를 대비할 대안도 고민해야 한다.
지역의 철도 전문가는 "용역은 결국 지자체의 의지로 추진해야 한다. 조차장 부지 활용은 특히나 정부 부처와 공사·공단이 맞물려 있는 사업이기 때문에 용역 결과에 따라 의기투합해 사업의 밑그림을 그려 정부에 요청해야만 추진에 속도가 붙을 수 있다"고 말했다.
조차장 부지는 국토부 50%, 한국철도공사가 50%를 소유하고 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