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의 기억속으로⑦] 대전 법동 아파트 살인사건 : 노인의 죽음

[그날의 기억속으로⑦] 대전 법동 아파트 살인사건 : 노인의 죽음

장애인 아들과 사는 70대 여성 거주하던 아파트서 살해
아들이 현관문 열어 면식범 추정했지만 용의자 특정 못해
범인 지문 등 DNA 미발견… 엘리베이터 CCTV 영상 유일

  • 승인 2021-09-27 13:43
  • 수정 2021-09-27 14:05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그날의 기억속으로



장애인 아들과 사는 70대 여성 거주하던 아파트서 살해
아들이 현관문 열어 면식범 추정했지만 용의자 특정 못해
범인 지문 등 DNA 미발견… 엘리베이터 CCTV 영상 유일



여성 노인과 장애인 아들. 사회로부터 보호받아야 할 그들이 범죄의 표적이 됐다. 70대 노인은 주검이 됐고 장애를 가진 아들은 자신의 보호자를 잃는 비극을 겪어야 했다. 도대체 범인은 왜 노인을 살해한 걸까. 지금 그는 어디서 무엇을 하며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대다수가 잠들어 있을 12월의 어느 새벽 컴컴한 어둠을 뚫고 한 중년 남성이 아파트에 들어간다. 2006년 12월 17일 오전 4시께 엘리베이터에 찍힌 그는 모자에 손수건으로 얼굴을 가린 상태. 자신의 모습을 철저하게 가린 남성은 70대 노인 민 모 씨와 그의 아들이 거주하는 집에 들어가 범행을 저지른다.



날이 밝은 뒤 이웃이 방문해 민 씨가 쓰러져 있는 것을 발견하고 경찰에 신고한다. 사인은 두개골 골절. 현장에 남아 있는 단서는 없었다.

이 사건은 대전경찰청이 수사 중인 6건의 장기미제사건 중 가장 많이 알려지지 않은 사건이다. 아파트라는 개인적인 공간에서 일어난 사건인 데다 다른 살인사건에 비해 특이점이 없기 때문이다.

범인의 모습이 아파트 엘리베이터 CCTV에 담기긴 했지만 가까운 지인이 아니면 알아보기 힘든 상황. 15년 전엔 지금처럼 CCTV가 보급되지 않은 때라 CCTV 추적으로 범인의 행방을 쫓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법동 경찰
대전경찰이 과거 홈페이지에 공개했던 용의자 모습
경찰은 사건 발생 초기 지체장애가 있던 민 씨의 아들이 새벽 시간 범인에게 문을 열어 줬다는 진술을 토대로 범인이 면식범일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그러나 숨진 민 씨에게 원한이 있는 대상을 특정하기 어려웠다. 장애인 아들과 살아가던 70대 노인이 누군가에게 죽임을 당할 만큼 원한 살 만한 행동을 했을 가능성은 크지 않기 때문이다.

현장에는 이렇다 할 단서는 없었다. 범인의 것으로 추정되는 지문이나 혈흔은 발견되지 않았다. 범인을 찾을 수 있는 대조군이 없는 만큼 이 사건은 사건에 대해 알고 있는 이들의 제보와 단서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대전경찰청 미제사건전담수사팀은 "범인이 현장에 자신의 DNA를 남기지 않았기 때문에 직접적인 단서가 필요하다"며 "사건에 대해 알고 있는 분들의 적극적 제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제보 전화 042-609-2772 / 010-2062-4446>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3.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4.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5.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1.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2.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3.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4.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5.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헤드라인 뉴스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의과대학 학생들이 집단휴학을 철회하고 학교에 복학을 신청하면서 의학교육이 1년 만에 기지개를 켜고 있다. 교육부는 학생들이 실제 수업에 참여하는지 살펴보고 복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고 밝혀 이번 주 의대정원을 증원 전으로 돌리느냐 중요한 시간이 될 전망이다. 정부가 정한 의대생 복귀 시한인 31일 전국 대다수 의대가 등록을 마감한 가운데 대전과 충남·북의 의대에서도 대체로 학생들이 복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충남대 의대는 3월 30일 복학 신청 접수를 마감했으나 몇 명의 학생들이 복학했는지 아직 공표하지 않고 있다. 당초 2월 2..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소비자 물가가 고공행진하고 있다. 식품·외식업계 가격 인상이 계속되면서 케이크 가격도 4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월 31일 해당 업계에 따르면, 투썸플레이스는 최근 커피와 음료, 케이크 가격을 올렸다. 케이크 가격은 2000원 올리고 조각 케이크는 400원 인상했다. 이에 따라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스초생)은 3만 7000원에서 3만 9000원이 됐다. 스초생 2단 제품은 4만 8000원이다. 딸기 생크림은 3만 6000원이고 클래식 가토 쇼콜라 가격은 4만원이다. 조각 케이크는 생딸기 우유 생크림은 9500원으로 1..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탄소 중립을 위한 대표적 교통수단인 자전거 이용을 높이기 위해 대전시가 '자전거 고속도로망' 구축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0년간 자전거 도로는 크게 증가했지만, 단절 구간이 많아 교통 분담률이 크게 늘지 않았는데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31일 대전세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대전시 자전거 고속도로 도입을 위한 기본구상 연구' 보고서를 보면 대전의 자전거도로 총연장은 2023년 기준 937㎞로 2010년 586.9㎞ 보다 60% 가까이 증가했다. 하지만, 자전거 분담률은 1.85%(2021년 기준)로 여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3색의 봄 3색의 봄

  •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