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제 기자 |
내년인 2022년 3월엔 말 그대로 큰 선거, 대선이 열린다. 민주당에선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본선에 진출할지 아니면 이낙연 전 대표가 막판 지지세를 끌어올려 결선 투표까지 갈지 관심사다. 국민의힘에선 8명으로 압축한 1차 컷오프에 이어 4명으로 줄이는 2차 컷오프를 앞두고 있으며, TV 토론회 등을 통해 윤석열 대세론과 홍준표의 ‘무야홍’이 치열하다.
내년 3월 9일까지 대한민국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많은 이목은 대선 후보들의 입에 집중될 것이다. 지역의 정치인들도 대선 바람 타고 선출되기 위해서라도 대선 승리에 모든 것을 쏟아 붙는 모습이다. 하지만 문제는 대선이 끝난 뒤 3개월도 지나지 않아 열리는 6월 1일 지방선거다. 그나마 시장 선거라면 그래도 관심을 가지는 편이지만, 우리 동네 대통령인 기초자치단체장 선거는 집중도가 한참 떨어진다.
구청장은 기본적으론 행정과 정치를 잘해야 한다. 큰 틀에서 주민의 삶과 직결된 행정 수행, 그리고 의회와 정책 반대자들에 대한 설득 프로세스를 거쳐 마침표를 찍는 정치적 역할까지다. 가장 밀접하게 주민의 삶에 적용하는 행정을 결정하는 곳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1번인지 2번인지에 따라 뽑혀 동네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사람이 되는 경우도 많다. 지방자치에서 행정 기관을 견제하는 지방의회의 역할이 강조되는 시점이지만, 정작 '일 잘하는 구청장'을 뽑아다 놓으면 견제와 감시에선 크게 할 일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나라와 대전시로부터 받은 그리고 구민이 낸 세금이라는 돈을 가지고 어디에 어떻게 쓸지 고민을 하기도 한다. 세금을 나눠 먹기 하는 데 사용할지 아니면 돈 모아 행사를 크게 할지, 그것도 아니면 돈만 많이 들어가는 체육관을 짓게 할지. 우리 동네에 진짜 필요한 일을 하는 사람인 것이다.
이런 사람을 뽑는 지방선거가 대선 직후 열린다. 이런저런 핑계로 대선이 끝날 때까지 구청장 출마 후보들은 동네 공약이나 정책을 내놓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대선이라는 바람이 우선이기 때문이라는 정치적 판단인 것이다.
뒤늦게 그리고 고민 없이 내놓은 동네 공약이 나올 우려 목소리도 크다. 지방선거 직전 동네별 정책과 현안 사업, 해결 방안에 대해 후보들은 발표하겠지만, 가능한 정책인지 그리고 가능하다면 어떤 효과를 낼지 또 장기적 우리 동네 발전에서 어떤 부분으로 작용할지 등 주민이 고민하고 결정해 후보를 선택할 시간은 촉박하기만 하다. 구청장 출마 후보들은 지금부터 커튼 뒤로 숨지 말고 주민이 웃을 일 많은 공약 내놓고 우리 동네 좋은 동네 만들기를 고민해야 할 때다.
이현제 기자 guswp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