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은 한국인의 체형을 깊이 고려한 복장이다. 한복은 키가 작고 하체가 큰 한국인들의 전형적인 몸매를 보완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여자 복식(服飾)의 저고리나 치마 형태는 특히 한국인의 체형을 좀 더 아름답게 보일 수 있도록 강조하고 있다. 저고리와 치마의 비율을 보자면 짧은 하체를 가진 여자의 체형을 상대적으로 길어 보이게 해 주었다.
따라서 단신의 여성이 한복을 입으면 단숨에 키까지 커 보인다. 물론 일시적 착시현상이긴 하지만 이런 맛에 명절만이라도 우린 한복을 입었다. 한복이 더욱 돋보이는 것은 자녀의 결혼식과 부모님의 장수를 축하하는 연회다.
정성으로 키운 내 아들과 딸이 결혼하는 것처럼 즐거운 날이 또 없다. 이런 날엔 응당 한복을 입어야 한다. 나를 먹이고 입히며 가르쳐주신 부모님의 환갑이나 칠순 잔치에도 한복을 안 입으면 실정법 위반이다.
한복은 여러 가지 염색을 통하여 원색의 미를 잘 살려왔다는 장점까지 있다. 평상시엔 흰색 일색이던 한복도 의례 복식이나 혼례식 등 명절이나 경사에 들어가는 복식에는 채색이 있는 한복을 사용하여 그 격에 알맞은 분위기와 정서를 표현했다.
더욱이 어린 아이들의 색동저고리 복식은 상대적으로 화려한 색감을 추구하는 경향이 짙었다. 앞으로 활달하게 미래의 동량으로 무럭무럭 성장하라는 의미를 담았던 것이다.
세월이 바뀌어 언제부터인가 결혼식을 하자면 서양식 웨딩드레스를 입는다. 하지만 예식을 마친 뒤엔 하객들이 식사하는 공간에 신랑과 신부가 나타나 한복을 입고 인사를 한다. 참 곱고 아름답다.
그런데 코로나 19의 장기화 탓에 결혼 철을 앞둔 가을 대목임에도 한복 상가는 한산한 분위기라고 한다. 특히 외국 관광객들이 줄면서 한복 대여업체에서도 손님들 발길이 크게 줄었다는 게 중평이다.
다른 건 몰라도 코로나 19의 가장 큰 영향과 타격은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한 결혼식장에서의 입장 가능 하객 수이다. 입장이 가능한 인원은 최대 99명이지만 그마저도 음식 제공이 없는 경우로 한정된다.
음식을 제공할 시 입장 가능 인원은 49명으로 줄어든다는 게 문제다. 그렇다면 어떤 결혼식에 300명의 하객이 왔는데 49명에게만 밥을 주고 나머지 251명은 그냥 보내야 한다는 셈법이 통용되는 것이다.
차별도 이런 차별이 또 없다. 코로나 확진자의 수를 한 명이라도 줄이고자 하는 정부의 고육책을 모르는 바 아니지만, 주먹구구로 일관하는 정부의 방역 대책을 탓하지 않을 수 없는 대목이다.
특별한 사람이 아닌 경우, 결혼은 일생에 딱 한 번만 한다. 그 소중한 결혼식에 자신이 초청한 사람이 올 수 없다는 것처럼 슬프고 우울한 게 또 없다. 그 귀한 딱 한 번의 결혼식을 위해 아리따운 한복을 맞추고 온갖 고운 신부 화장까지 마쳤거늘 현행 코로나 방역지침은 여전히 49명으로 못 박고 있다.
종교시설 대면 활동은 최대 99명, 콘서트는 2,000명까지 허용되는 현행법의 적용과도 크게 어긋나는 불편한 현실이 아닐 수 없다. 이번 추석 연휴에도 나는 작년처럼 아이들을 집에 못 오게 했다.
홍경석 / 작가·'초경서반' 저자
* 홍경석 작가의 칼럼 '홍키호테 世窓密視(세창밀시)'를 매주 중도일보 인터넷판에 연재한다. '世窓密視(세창밀시)'는 '세상을 세밀하게 본다'는 뜻을 담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