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대전세종연구원 제공 |
또 현장지원센터 역할과 젠트리피케이션 예방을 위한 '민관협의체' 등의 운영도 제기됐다.
대전세종연구원 주관으로 열린 2021 대전·세종 정책엑스포에서 정태일 대전도시재생지원센터장은 '대전시 도시재생사업의 현황 및 과제'에 대한 주제발표에서 "도시재생이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 쇠퇴하는 도시를 경제적, 환경적으로 활성화하는 것"이라며 "도시가 겪고 있는 쇠퇴의 원인적 해소와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능동적 처방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기존의 도시재생사업과 환경적 재생을 포함하는 도시재생 뉴딜 사업에 대한 구분도 명확히 했다.
기존의 도시재생사업은 중앙정부 위주의 사업 추진, 대규모 계획 수립에 집중, 미흡한 지원으로 이뤄진 사업이라면 도시재생 뉴딜 사업의 경우 지역 주도 방식으로 이뤄지며, 동네 단위 생활 밀착형 편의시설 중심, 5년간 50조 원 규모로 전폭적으로 지원을 확대했다.
대전의 경우 2016년 중구, 동구(사업명: 원도심, 쇠퇴의 상징에서 희망의 공간으로)를 시작으로 2017년에는 동구(가오 새텃말 살리기), 중구(대전의 중심 중촌, 주민 맞춤으로 재생 날갯짓), 유성구(어은동 일벌), 대덕구(신탄진 상권활력UP)에서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선정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지역 도시재생사업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선 운영위원회 등 사업 추진 거버넌스 구축이 관건일 것으로 분석했다.
정태일 센터장은 "지속적 사업 추진을 위한 체계적인 운영 조직을 꾸리는 게 중요하고, 사회적 경제, 주거복지 중간지원 조직 협업 등 '현장지원센터'의 역할도 확대해야 한다"며 "또 상생 거점공간 설치, 사업이익 지역 사회 환원 등을 강화하기 위해 민관협의체 운영도 선결과제"라고 말했다. 신가람 기자 shin969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