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산대공원 내 대전예술의전당 전경 (대전시제공) |
둔산문화예술단지는 대전예술의전당을 중심으로 대전시립미술관, 이응노미술관, 시립연정국악원, 평송청소년수련원 등 명실상부한 대전 문화의 핵심지역이다. 도심 속 휴식 장소인 한밭수목원을 인근에 두고 공연과 전시를 모두 즐길 수 있는 공공 문화시설이 한 곳에 자리한 곳은 계획도시인 세종시를 제외하고는 대전이 유일하다. 여기에 갑천변과 엑스포과학공원 등, 스튜디오 큐브, 대전신세계 아트앤 사이언스( art&science)까지 가세하면 문화와 쇼핑, 관광까지 연계한 중부권 최대의 관광 인프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이 같은 공공문화시설이 한 곳에 모여 있는 최상의 인프라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문화시설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지 못하면서 오히려 대전은 노잼도시의 대명사로 불리고 있다. 원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각종 예술 시설을 원도심에 안배하려는 정책결정까지 가세하면서 오히려 둔산문화예술단지만의 동력도 약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지역문화를 통해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문화도시 프로젝트'의 두 번째 현안으로 둔산문화예술단지를 점검하고, 방향을 모색해 본다. <편집자 주>
문화보다는 개발이 우선이었던 1990년대 도심지 한복판에 공공문화시설을 집적화시키겠다는 구상은 1993년 대전서 열린 대전엑스포에 힘입어 속도를 낸다. 1991년 둔산문예공원 조성계획 수립 이후 1997년 평송청소년문화센터, 1998년 대전시립미술관, 2003년 대전예술의전당, 2007년 이응노미술관, 한밭수목원, 2015년 시립연정국악원 등이 순차적으로 들어서며 30여년만에 명실상부한 문화예술단지가 탄생한 것이다.
'문화'는 '고급한 것', '부자들의 것'이라는 인식이 공공문화시설들로 인해 누구나 향유할 수 있는 문화의 대중화가 이뤄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둔산문화예술단지의 이용은 대전시민 전체의 시설로는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대전세종연구원 연구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9년 대전예술의전당이 20만 명, 시립미술관 12만 명, 이응노미술관 7만 명, 시립연정국악원 4만 명 등 문화예술단지내 방문객은 43만명에 불과하다. 대전인구의 1/3만이 이 공공시설을 찾은 셈이다. 이렇게 전국 유일의 문화예술집적단지를 갖추고도 모든 시민들이 향유할 수 있는 문화공간이 될수 없었던 것은 우선 부실한 콘텐츠에 있다.
이전부터 대전시는 각 시설 간 밀접성을 활용해 엑스포 과학공원과 갑천, 둔산대공원 일대를 아우르는 관광벨트를 조성하려 했지만 각 시설 간 커뮤니티가 제대로 형성돼 있지 않고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없어 한곳에 모여 있는 강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
지난 8월에는 둔산대공원 내 문화예술 시설들이 시너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시에서 '아트위크 대전 2021' 행사를 기획했지만 코로나19 여파와 더불어 졸속추진, 부실한 콘텐츠 등을 이유로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취소된 바 있다.
둔산문화예술단지에 가면 언제 어느때든 공연과 전시가 상시 이뤄져야 하지만, 각각의 공공시설안에서 각각의 행사가 이뤄질 뿐이었다. 공간만 밀접해 있을 뿐 각각의 시설물의 벽은 여전히 견고했던 것이다.
여기에 접근성도 문제로 지적된다. 둔산대공원 주변으로 시내버스 121, 606, 618, 705, 911번이 다니지만 버스노선 부족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오기 어려워 교통 편의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대전 어디서든 대중교통을 통해 둔산문화예술단지를 올수 있도록 대중교통과의 연계가 이뤄져야 하지만, 버스보다는 자동차 위주의 교통 정책이 우선시 되면서 둔산문화예술단지는 자동차가 있는 둔산지역민만의 전유물이 됐다는 지적이다.
지역의 문화예술 관계자는 "이곳이 대전의 대표 문화관광 랜드마크가 되기 위해선 이 시설들은 연계해줄 수 있는 대전만의 콘텐츠가 필요하다 " 며"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선 시내버스 노선 조성이 필요해보인다"고 조언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