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과 제주 등이 유치 경쟁에 나섰지만, 대전시가 보유한 인프라를 내세우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며 지역 역량을 모아야 할 때라는 점도 강조했다.
대전세종연구원 성장동력연구실 유병선 책임연구위원은 최근 ‘지방의정연수원 대전 건립 당위성 개발’ 연구를 통해 지방의정연수원 유치를 위해 대전시 건립의 당위성과 유치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지방의회는 전국 17대 광역시·도에 광역의원 828명, 전국 226개 기초의회에 기초의원 2927명 등 모두 3756명이 활동하고 있다. 사무처 직원과 내년부터 채용하는 정책지원 전문인력까지 초함하면 사무처 직원도 최대 8000여명에 달한다.
이들을 위한 지방의회 연수 프로그램은 국회의정연수원과 지방자치인재개발원, 민간기관, 자체연수 등으로 교육훈련의 양과 질적 측면에서 부족한 실정이다. 행정안전부가 2021년 업무보고에 지방의회 중앙연수원 건립 계획을 반영한 후 2022년 건립을 연구용역 예산을 확보할 예정인 것도 이 때문이다.
우선 전문성 측면에서 대전에는 정부대전청사를 비롯한 여러 행정기관이 있고 카이스트와 충남대, 정부출연연구기관 등 풍부한 연수 지원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여기에 4차 산업혁명 특별시에 맞게 스마트 행정과 의정의 토대가 충분하고 2022년 세계지방정부연합(UCLG) 총회 유치로 풍부한 인프라와 한층 높아진 시민역량을 기반으로 세계도시로서의 위상까지 강점으로 꼽히고 있다.
접근성도 마찬가지다. 대전은 철도와 고속도로 항공 등 교통의 요충지로, 전국 어디에서나 쉽게 오갈 수 있다. 또 수도권과 영·호남의 가교로 중앙정치와 지방자치,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의 상징성을 갖췄으며, 정주와 자연환경, 시설과 견학, 휴양을 위한 연수 환경도 충분하다는 게 대전세종연구원의 연구 결과다.
후보지로는 2곳을 제안했다. 가장 좋은 후보지는 세종과 인접한 유성구를 제시했지만, 한국발전인재개발원이 있는 서구 관저동 구봉지구 유휴부지도 좋은 후보지로 꼽았다.
유병선 책임연구위원은 연구 결론에서, “유치 전략으로 행정과 교육, 과학, 휴양 등 복합 도시로서 시너지를 갖춘 지방의정 연수의 최적지 브랜드화 전략. 컨트롤타워를 중심으로 민·관·학 협력을 이끌어내는 협력거버넌스 구축, 대전형 스마트의정 모델 개발, 정치권과 학계, 지방의회 유치 노력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