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brandt 'Selfportrait with Beret and Turned-Up Collar' 1659년, 84.5x66 cm National Gallery of Art, in Washington, D.C. |
미술사학자 에른스트 곰브리치(1909~2001)는 렘브란트의 자화상을 두고 '인간의 마음속을 꿰뚫어 본 결정체'라고 극찬을 했다. 무자비할 정도로 엄격한 자기성찰을 통해 삶의 희로애락은 물론 자신의 과오까지도 숨김없이 표출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렘브란트는 자신의 모습에 이토록 심취했던 이유는 무엇일까? 아우렐리우스는 저서 '명상록'에서 인간이 불행에 빠지는 이유는 타인을 꿰뚫어 보지 못하기 때문이 아니라, 내 마음속 움직임을 주시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렘브란트도 자신의 마음의 움직임을 제대로 알고 싶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렘브란트는 한때는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승승장구한 적도 있었지만, 아내와 자식과 이별하는 고통도 겼었다. 거기다 그림도 잘 팔리지 않았다. 그야말로 그의 말년은 외로움과 궁핍함으로 너무나 가혹했다.
그러나 그는 자화상을 그리면서 자신의 내적인 모습을 발견했었고, 그 힘으로 오직 하느님만을 의지하고 살아가는 방법도 터득했다. 그랬기에 그는 결코 삶을 포기하거나 그림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림 속 그의 얼굴은 강한 붓 자국으로 물감의 층이 많이 두텁다. 그 물감의 두께가 마치 세상을 힘겹게 살아온 그의 삶의 두께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그의 표정은 참으로 담담해 보인다. 지금의 자기 모습을 그대로 받아들인 자만이 보여줄 수 있는 표정이다. 세속의 모든 걸 초월하고 넘어선 달관의 경지처럼...
렘브란트 말년의 자화상을 가만히 들여다보고 보고 있으면, 성철스님의 말씀이 생각난다.
자신의 운명이 엉망이라고 하는 믿는 한 아이가 있었다. 이 말을 들은 스님은 잠간 침묵하더니 아이의 손을 잡아 당겼다. "얘야, 네 손금을 좀 보여주렴. 이것은 사업선이고 이것은 감정선이고 이것은 생명선이야. 자아 이제는 주먹을 쥐어 보렴." 아이는 주먹을 쥐고 스님을 바라보았다. "얘야, 네 감정선, 생명선, 사업선은 어디 있느냐?" "바로 제 손 안에 있지요." "그렇지 바로 네 운명은 네 손안에 있는 것이지 다른 사람의 입에 달린 것이 아니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