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8월 대전YWCA에서 수공예 강습을 통해 여성들이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 (사진=대전여성60년) |
▲전후 여성의 지위
한국전쟁의 깊은 상처를 지닌 대전에서 여성에 대한 지위는 전쟁에서 남편을 잃은 부인에 대한 자활을 지원하는 데서 시작됐다. 2009년 발행된 '대전여성 60년'에 따르면 1954년 충남도내에서 전쟁에서 남편을 잃은 여성은 1만8000여 가구에 8만9000여명이었고, 대전에서만 7000여 세대 3만4000명에 달했다는 통계가 있는데 특정 분야 여성에 대한 보기드문 자료였다. 이들 여성과 가족을 수용해 직업지도를 통해 경제적 자립을 돕는 모자원이 전국 141곳에서 운영될 때 대전 중구 선화동에 루씨 모자원과 충남 서천의 에베네셀 모자원이 설치·운영됐다. 작업지도소를 통해 기술을 익히고 자격을 취득해 보다 안정적으로 가정을 이끌 수 있도록 돕는 게 부녀정책의 전부였다. 1959년 1월 중도일보 지면에는 직장여성 좌담회를 갖고 근로하는 여성들의 목소리를 듣는 시간이 있었다고 소개했고, 앞서 1956년 충남도보건당국이 주최한 미용사 시험에 18세부터 39세의 여성 169명이 응시했다고 보도됨으로써 사회활동을 넓혀가던 모습을 읽을 수 있다. 여성들은 대전에서 미군부대 세탁이나 군복을 거래하고, 빈대떡과 국밥장사 등 닥치는 대로 일을 하면서 생계를 유지해 나가야만 했다. 일제 강점기부터 대규모 방직제사공업이 발달했던 대전지역에서는 해방 후에도 근로여성이 많았고, 하루 12시간 이상의 중노동과 저임금, 열악한 작업환경 등으로 인해 폐결핵, 호흡기 질환을 앓았고 이러한 여성문제는 사회에 공개적으로 드러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여성단체 출범으로 본격화
대전에서 출범한 여성단체는 사회적 차별과 불평등 구조를 법과 제도적으로 개선하고 인식을 개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광복 이후 대전지역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진 여성단체는 1946년 대전YWCA이었다.
대전YWCA 초창기 모습. (사진=대전여성60년) |
▲사회진출에 대한 시선
1964년 9월 중도일보 신문에 여성 운전사라는 기사가 게재됐다. 대전에 처음으로 등장한 20대 중반의 여성운전사를 소개하는 내용으로 1959년도에 충남도에서 운전면허를 취득해 이미 서울에서 4년간 운전사로 종사했고 한 달 전에 대전에 와서 충남 영331호라는 차를 운전하며 손님을 실어 나르는 유일한 여성 택시운전사라고 소개했다.
1966년 12월 여성상담소에 상담이 이뤄지고 있다. |
▲하나씩 갖추어간 교육시설
1950년대 교육에 여성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학교들이 많이 세워졌다. 전쟁을 피해 대전으로 모여든 어린이들을 수용해 교육하는 대전동부 서울핀란학교와 대전서부 피란학교가 운영됐고, 개성에서 피란해 온 덕명여학교(현 호수돈여자중고교)가 피란 여중학교를 개설함에 따라 피란 여중 학생의 교육을 수행했다. 1961년 12월 논산여자중학교 개교 소식을 전한 중도일보 기사를 보면 "여자 교육을 시킬려면 거리가 먼 강경, 대전 등지로 보내든 논산지방 학부형들에게 기쁜소식이 아닐 수 없다"라고 소식을 전했다. 그동안 논산중학교에 병치되어 수학하든 여학생 6개 학급 366명을 분리해 개교식을 보게된 것이라고 소개했다. 대전여고는 1937년 대전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에서 시작해 1950년 대전여자고등학교로 개편했고 호수돈여자중·고등학교는 1989년 미국인 선교사가 개성에 설립한 이후 1953년 대전으로 이주해 재개교해 여성교육에 밑거름 됐다. 한밭여자중학교와 대전여자중학교는 1954년 설립됐다. '대전시 여성 60년사'에 따르면 1955년 대전시 초등학교 전체 학생 2만2480명 중 여학생은 9686명이었고, 공사립고등학교 전체 학생 4690명 중 여학생은 825명이었다. 전문직 여성을 육성하기 위해 1955년 유치원 보모를 양성하던 대전보육초급대학(현 배재대학교)이 설립인가를 받았고, 간호사 양성을 위해 1940년 대전의원 부설 간호원양성소는 1953년 대전간호고등기술학교(현 대전과학기술대)로 개편인가를 받았다. 이로써 1950년대 대전의 여성교육은 질적 양적 확대를 꾀하면서 보다 체계적인 여성교육을 확립하게 됐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