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그만은 아니지만 비슷하게 요리해 봤다. 위구르인들은 면실유로 재료를 볶는다는데 난 올리브오일을 썼다. 라그만을 생각하며 맛있게 먹었다. 우난순 기자 |
라그만은 중앙아시아 이슬람인들이 먹는다. 위구르를 비롯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도 볼 수 있다. 중앙아시아는 실크로드의 중심지다. 아시아 내륙을 통과하는 낙타 도로를 따라 종이, 향신료 등이 페르시아를 거쳐 유럽으로 갔다. 실크로드는 동과 서를 연결하는 문명의 길이었다. 실크로드는 국수의 도로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문화의 공간에 국수 요리도 반영됐다. 세계 각지에서 몰려든 무역상들은 다른 문화들을 접촉하고 물품, 종교 그리고 요리법을 교환했다. 국수의 재료인 밀이 메소포타미아에서 시작해 동쪽으론 중국·한국·일본까지 그리고 서쪽의 유럽까지 퍼져 각 지역에서 독자적으로 국수요리가 생겨났다. 밀이 귀했던 한국은 메밀로 만든, 세계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냉면이라는 면 요리가 만들어졌다.
면 요리의 탄생지 중앙아시아 남쪽엔 아프가니스탄이 자리하고 있다. 아프간의 아우시는 라그만의 일종으로 실크로드 여러 지방의 별미들을 합쳐 놓은 거라고 한다. 콩과 고기, 요구르트가 모두 들어가기 때문이다. 지구촌 뉴스의 중심이 된 아프가니스탄. '제국의 무덤'이란 별칭이 붙은 아프간의 역사는 파란만장하다. 19세기 영국과 러시아는 100년 가까이 제국주의적 영토 팽창과 식민지 수호를 위해 거대한 상금이 걸린 체스판 같은 전쟁을 벌였다. 이름하여 '그레이트 게임'이다. 그리고 1978년 소련, 9.11 테러 직후 2001년 10월 미국. 결과는 하나같이 아프간을 침공해 마음대로 요리하려다 국물도 못 먹어보고 체면만 구긴 채 서둘러 발을 뺐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탈레반은 서구 강대국의 욕망과 패권 다툼으로 탄생했다.
미군이 철수한 아프간에 중국이 발을 담글 것이라는 보도가 나온다. 21세기 그레이트 게임이 시작되는 건가. 중국은 옛 실크로드 부활을 꿈꾼다. 그래서 영토 확장에 혈안이 됐다. 신장 위구르도 오래전에 중국의 자치구가 됐다. 위구르인들은 이슬람교도로 종교적 관습과 역사, 문화, 언어를 지키며 오아시스 농사를 짓는다. 중국은 이런 위구르인의 문화와 종교를 말살하는데 서슴지 않는다. 그러니 위구르인의 저항은 당연한 것. 결국 위구르 독립세력이 탈레반과 연결되자 중국으로선 여간 신경 쓰이는 일이 아니다. 각자 손익계산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신장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탈레반은 어떤 액션을 취할까. 우리는 다분히 미국 시각에서 무슬림을 바라본다. '잔혹한 테러집단', '악의 무리'. 실크로드를 걷고 기행문을 쓴 베르나르 올리비에의 <나는 걷는다>는 낯선 방문객에 대한 무슬림의 무한한 환대를 보여준다. 폭력은 이슬람의 본질이 아니다. 나는 꿈꾼다. 실크로드를 걸으며 위구르인들과 라그만을 먹으며 우정을 나누는 날을. <지방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