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난한 식탁: 저는 채식주의자입니다] 대전서 열린 비건 축제 내가 심은 한 '그루'

  • 경제/과학
  • 유통/쇼핑

[유난한 식탁: 저는 채식주의자입니다] 대전서 열린 비건 축제 내가 심은 한 '그루'

  • 승인 2021-09-14 15:37
  • 수정 2022-05-07 21:46
  • 이유나 기자이유나 기자
KakaoTalk_20210728_112436230







미호동 넷제로 공판장에서 '그루' 페스티벌 개최
비건 강연·그림자 인형극·제로웨이스트 장터…

KakaoTalk_20210913_144243139
지난 11일 대전 대덕구 미호동 넷제로 공판장에서 비건 축제가 열렸다.

지난 11일 대전 대덕구 미호동 넷제로(net-zero)공판장에서는 지역 채식인들에게는 보기 드믄 의미 있는 모임이 열렸다. 그동안 서울 등 수도권 중심으로 열리던 비건 강연, 축제가 대전에서 열린 것이다. 지역에서도 채식주의자들을 위한 축제가 열릴만큼 '채식'의 저변도 확산되고 있다.

이날 축제의 이름은 '지구를 위한 그루 페스티벌'이다. '나무'를 세는 단위인 '그루'는 이날 축제의 핵심이다. 이날 축제에서는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종이 화폐대신 기후 화폐로 그루가 사용됐다. 그동안 자율적으로 통장에 적립한 샌드위치나 쑥개떡를 비롯해 샴베 수세미, 천 마스크 등 제로웨이스트 상품을 살 수 있다.

'그루'는 기후화폐로 텀블러 사용하기, 환경 관련 책 읽기 등으로 적립할 수 있다. 이날 축제에서는 친환경 용품 판매는 물론 '나와 기후를 위한 기후 미식' 강연, 그림자 인형극 '가라앉는 섬' 그리고 '지구를 위한 음악공연'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KakaoTalk_20210913_144121320
미호동 넷제로 공판장에 1.5℃가 크게 보인다. IPCC는 지구 평균 온도 상승폭을 1.5℃도 제한해야 한다고 발표했다./이유나 기자
대덕구 미호동 넷제로 공판장은 대덕구, 대전충남녹색연합, 에너지전환해유 사회적협동조합, 기업 신성이앤에스가 힘을 모아 만든 곳이다. 당초 미호동 정다운 쉽터라는 마을 농산물 장터를 제로웨이스트 샵과 환경도서관으로 새롭게 단장했다.

1층에는 주민들이 직접 내놓은 농산물, 에너지 전환제품, 친환경 생활용품, 세제 등을 소분 판매하고 2층에는 환경, 기후, 에너지와 관련된 책들을 만날 수 있다.

그루그루
1.비건 축제에서 재활용한 컵으로 만든 방향초, 마 수세미 등 제로웨이스트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2.비건 축제에서 단호박, 버섯, 토마토 등을 넣은 비건 샌드위치를 손님들에게 나눠줬다.
3.미호동 넷제로 공판장 도서관에서 유성선병원 직업환경의학센터 센터장 이의철 의사가 '나와 기후를 위한 기후미식' 강연을 하고 있다./이유나기자
오후 3시가 되자 2층 도서관에선 유성 선병원직업환경센터장 이의철 의사의 '나의 기후를 위한 기후미식' 강연이 열렸다. 그는 기후난민·해수면 상승·폭염·산불·식량위기 등 현실로 다가온 기후위기를 지적했다. 또한 건강과 환경을 위해 육류소비를 줄이고 자연식물식으로 식습관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축 분뇨로 인해 하천에 녹조가 생기고 축산업에 항생제가 무분별하게 사용되기 때문이다. 비만·고지혈증·당뇨병·고혈압이 증가하는 등 한국인의 건강상태도 악화하고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KakaoTalk_20210913_144138811
미호동 주민들로 이뤄진 극단 '미호동 723'이 환경 보호를 주제로 한 그림자 연극을 하고 있다./이유나 기자
이의철 의사의 강연이 끝나고 미호동 극단인 '미호동 723'의 그림자 연극이 시작됐다. 이 연극의 제목은 '가라앉는 섬'으로 지구 기온 상승으로 빙하가 녹고 해수면이 상승해 투발로 섬이 잠겨 위기에 처한 상황을 그려냈다. 연극은 아이들에게 '일회용품 쓰지 않기'와 같은 교훈을 전했다. '미호동 723'의 단원인 두미영(53)씨는 "첫 공연이라 떨리고 부족하지만 환경을 살리고 소비를 줄이는 좋은 세상을 만들고 싶어 연극에 참여했다"고 포부를 전했다.

KakaoTalk_20210913_144134135
사회 고발 노래를 하는 락 밴드 프리버드가 미호동 넷제로 공판장 앞에서 공연을 하고 있다./이유나 기자

연극이 끝나고 공판장 앞 느티나무 아래에선 프리버드 밴드의 '지구를 위한 음악공연'이 펼쳐졌다. 프리버드 밴드는 노동문제·세월호 등 사회 고발적 노래를 주로 하는 락 밴드로 보컬인 임도훈씨는 대전충남녹색연합활동가다. 그는 "녹색연합에서 금강을 담당하고 있는데 상황이 처참하다"며 "그나마 금강은 수문을 개방했지만 다른 강의 수문은 닫혀 있다" 아쉬움을 표했다. 프리버드 밴드는 '두 바퀴로 가는 자전거' 등 대중음악과 강이 회복되길 마음을 전하며 노래 '흘러라 강물아'를 불렀다. 공연이 끝나고 축제도 막을 내렸다. 축제에 참여한 A씨는 "사촌언니의 영향으로 자연스럽게 비건에 관심 갖게 됐다"며 "이 곳에서 책도 추천 받고 정보도 많이 얻을 수 있어서 유익하고 즐거운 시간이었다"고 전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3.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4.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5.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1.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2.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3.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4.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5.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헤드라인 뉴스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의과대학 학생들이 집단휴학을 철회하고 학교에 복학을 신청하면서 의학교육이 1년 만에 기지개를 켜고 있다. 교육부는 학생들이 실제 수업에 참여하는지 살펴보고 복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고 밝혀 이번 주 의대정원을 증원 전으로 돌리느냐 중요한 시간이 될 전망이다. 정부가 정한 의대생 복귀 시한인 31일 전국 대다수 의대가 등록을 마감한 가운데 대전과 충남·북의 의대에서도 대체로 학생들이 복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충남대 의대는 3월 30일 복학 신청 접수를 마감했으나 몇 명의 학생들이 복학했는지 아직 공표하지 않고 있다. 당초 2월 2..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소비자 물가가 고공행진하고 있다. 식품·외식업계 가격 인상이 계속되면서 케이크 가격도 4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월 31일 해당 업계에 따르면, 투썸플레이스는 최근 커피와 음료, 케이크 가격을 올렸다. 케이크 가격은 2000원 올리고 조각 케이크는 400원 인상했다. 이에 따라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스초생)은 3만 7000원에서 3만 9000원이 됐다. 스초생 2단 제품은 4만 8000원이다. 딸기 생크림은 3만 6000원이고 클래식 가토 쇼콜라 가격은 4만원이다. 조각 케이크는 생딸기 우유 생크림은 9500원으로 1..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탄소 중립을 위한 대표적 교통수단인 자전거 이용을 높이기 위해 대전시가 '자전거 고속도로망' 구축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0년간 자전거 도로는 크게 증가했지만, 단절 구간이 많아 교통 분담률이 크게 늘지 않았는데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31일 대전세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대전시 자전거 고속도로 도입을 위한 기본구상 연구' 보고서를 보면 대전의 자전거도로 총연장은 2023년 기준 937㎞로 2010년 586.9㎞ 보다 60% 가까이 증가했다. 하지만, 자전거 분담률은 1.85%(2021년 기준)로 여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3색의 봄 3색의 봄

  •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