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찜했슈-당진] 당진 합덕제, 사계절을 품고 있는 관광 명소로 각광

  • 전국
  • 당진시

[여기 찜했슈-당진] 당진 합덕제, 사계절을 품고 있는 관광 명소로 각광

  • 승인 2021-09-19 00:19
  • 박승군 기자박승군 기자

컷-찜했슈








조선시대 3대 방죽, 세계관개시설유산으로 등재 

민속수리박물관과 농촌테마공원은 '보너스'

 

AKR20190702097300063_03_i_P4
합덕제 연꽃단지 조성 사진

합덕제(合德堤)는 충남 당진시 합덕읍에 위치한 저수지다. 1989년 4월 20일에 충남도 기념물 제70호로 지정됐다. 조선시대 3대 방죽의 하나이자 세계관개시설유산으로 등재된 합덕제는 예로부터 연꽃이 많아 '연호방죽'으로도 불린다.

 

 

IMG_0160
합덕제에 늦게 핀 연꽃 사진

특히 합덕제는 봄에는 유채꽃 단지가 상춘객을 부르고 한여름 만발한 연꽃의 화려함이 장관을 이루고 가을이면 합덕제를 가로지르는 순례길에는 순례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으며 한겨울에는 진객 고니의 안식처로도 자리매김 한 곳이다. 합덕제 입구에 있는 민속수리박물관에는 옛날 농사짓던 모든 농기계를 한 눈에 볼 수 있어 학생들의 교육장소로 인기가 높다. 그 옆에는 잘 가꿔 놓은 농촌테마공원이 있어 휴식공간으로 각광을 받으며 야간에는 걷기운동의 명소로 자리매김한 곳이다.

 

 

IMG_0169
합덕제 옆에 있는 농촌테마공원 사진

당진 합덕제는 연안 남대지, 김제 벽골제와 함께 조선시대 3대 방죽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육성사업 기본계획 수립에서부터 자료집, 연구집 발간이 활발했던 벽골제에 비해 전문적인 연구가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당진시는 2018년 합덕제의 규모와 구조 등에 대한 분석조사와 함께 농업수리학적 기초조사와 관개시설물로서의 기본 역할과 기능에 대해 연구를 진행했고 합덕제에 대한 명칭의 유래 등을 토대로 미래 활용 가치에 대한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당진시 합덕읍 성동리 일원 23만9652㎡ 규모로 조성된 합덕제는 후백제왕 견훤이 후고구려와의 마지막 일전을 앞두고 군마에게 물을 먹이기 위해 쌓았다고 전해질 만큼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곳이다. 본래 제방은 6개 마을에 관개하는 9개의 수문이 있었으며 평지로부터 높이 7.8m, 전체길이 1771m에 이르는 큰 방죽으로 저수 면적은 103ha, 그 외에 물을 이용한 면적은 726ha에 이른다.

제방 서쪽 끝에는 제방을 보수할 때의 기록을 적어둔 중수비가 5기 남아 있으나 제방 축조연대에 대한 기록은 없다. 통일신라 후기 후백제를 세운 견훤이 왕건과 싸울 때에 이곳에 1만2000명의 군대가 주둔했고 이들이 쌓은 것이라는 이야기도 전하는데 김제 벽골제의 제방과는 달리 제방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점이 특이하다. 하지만 1960년대 예당저수지 축조와 함께 사라졌었으나 2008년 당진시에서 30만평 중 7만평을 정비해 2017년 현재의 합덕제가 빛을 보게 됐다.

합덕제 인근에는 서야중학교와 서야고등학교, 그리고 합덕제를 기념하고 수리(水利)의 중요성을 인식한 조상들의 지혜를 본받기 위해 건립된 수리 민속박물관이 있다. 2005년 10월 26일 개관했으며 규모는 지하1층, 지상1층으로 2개의 전시실과 수리체험장 등이 있다.

 

 

IMG_0156
합덕수리민속박물관 전경 사진

또한 1929년에 지어져 100여 년 이상의 역사를 간직한 충청남도의 기념물 제145호인 합덕성당도 역시 근처에 자리하고 있다.

 

 

IMG_0170
합덕성당 사진

이밖에 해마다 겨울철에 수백 마리의 큰고니가 합덕제를 찾아와 겨울을 보내면서 수많은 사진작가들이 관심을 갖고 모여들기도 한다.

 

 

합덕제 큰고니 사진
겨울진객 큰고니 사진

당진=박승군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3.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4.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5.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1.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2.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3.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4.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5.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헤드라인 뉴스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의과대학 학생들이 집단휴학을 철회하고 학교에 복학을 신청하면서 의학교육이 1년 만에 기지개를 켜고 있다. 교육부는 학생들이 실제 수업에 참여하는지 살펴보고 복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고 밝혀 이번 주 의대정원을 증원 전으로 돌리느냐 중요한 시간이 될 전망이다. 정부가 정한 의대생 복귀 시한인 31일 전국 대다수 의대가 등록을 마감한 가운데 대전과 충남·북의 의대에서도 대체로 학생들이 복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충남대 의대는 3월 30일 복학 신청 접수를 마감했으나 몇 명의 학생들이 복학했는지 아직 공표하지 않고 있다. 당초 2월 2..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소비자 물가가 고공행진하고 있다. 식품·외식업계 가격 인상이 계속되면서 케이크 가격도 4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월 31일 해당 업계에 따르면, 투썸플레이스는 최근 커피와 음료, 케이크 가격을 올렸다. 케이크 가격은 2000원 올리고 조각 케이크는 400원 인상했다. 이에 따라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스초생)은 3만 7000원에서 3만 9000원이 됐다. 스초생 2단 제품은 4만 8000원이다. 딸기 생크림은 3만 6000원이고 클래식 가토 쇼콜라 가격은 4만원이다. 조각 케이크는 생딸기 우유 생크림은 9500원으로 1..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탄소 중립을 위한 대표적 교통수단인 자전거 이용을 높이기 위해 대전시가 '자전거 고속도로망' 구축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0년간 자전거 도로는 크게 증가했지만, 단절 구간이 많아 교통 분담률이 크게 늘지 않았는데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31일 대전세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대전시 자전거 고속도로 도입을 위한 기본구상 연구' 보고서를 보면 대전의 자전거도로 총연장은 2023년 기준 937㎞로 2010년 586.9㎞ 보다 60% 가까이 증가했다. 하지만, 자전거 분담률은 1.85%(2021년 기준)로 여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3색의 봄 3색의 봄

  •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