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때부터 조성된 전국 3대 한의약거리
코로나로 경기에 민감한 한약 수요도 급감
동구 한의약 거리의 한 한약방에 약재들이 즐비하다. |
한의약 거리 에 도착했음을 알리는 것은 즐비한 입간판도, 표지판도 아닌 콧속으로 밀려 들어온 한약 냄새였다. 대전시 동구 중동에 위치한 한의약 거리는 서울 경동시장, 대구 약령시장과 함께 전국 3대 한의약거리이다. 한의원, 한약방, 탕제원 등 한의약 관련 가게들이 밀집돼 있는 한의약 도매시장이다. 6.25 전쟁 때 교통이 마비되면서 철도의 중심인 대전역 주변으로 사람들이 길거리에 한약을 팔기 시작해 한의약 시장이 형성됐다. 경상도, 전라도에서도 이 곳에서 한약을 사러 왔다.
외지 도매상이 대전에서 장을 보고 하룻밤 묶었다가 금산에 가서 인삼을 사고 다시 대전에 들렸다 왔다고 한다. 지금은 없어졌지만 '‘보인당한약방', '대일당 한약방', '충남건재한약방', '대한건재한약방' 등 이 크게 운영했다. '백제당한약방', '광명한약방', '경일한약방', '천일한약방'은 지금도 영업 중이다.
오래된 역사만큼 대를 이어 온 한약방이 많다. '중도건재한약방'은 손자가 대를 이어 가게를 하고 있다. 약재는 강원도나 서울 도매시장에서 사온다.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약재는 북한, 중국에서 수입한다. 10년 전까지만 해도 명성이 자자했다. 5~6년 전에는 한의약 축제도 열렸다.
동구 한의약 거리에 한약방이 모여있다. 구석에 OO 다방과 같은 업소도 보인다. |
당시 담당자였던 동구청은 감사를 받았고 건설사는 경찰의 수사를 받았다. 이 때문인지 올해 추진되는 재생사업에 대해서도 상인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곳곳 'OO 다방'과 같은 업소들이 보여 음습한 느낌도 든다. 대구의 경우 동성로, 종로거리, 약령시장에 길가 턱을 제거하고 조경으로 도시미관을 가꾸고 한의약 박물관, 관광기념품 판매장을 만들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한의약 거리 한 탕제원에서 약재를 손질하고 있다. |
설상가상 코로나까지 덮치며 상인들의 시름도 깊어졌다. 한의약은 경기에 민감한 산업이기 때문이다. 90년대 이후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IMF를 거치며 한의약은 사양길에 접어들었다. 한의약 거리에서 50년 넘게 한약방을 운영한 A씨는 "주머니가 두둑해야 사람들은 몸을 챙기기 시작하는데 요즘 경기가 어려워 한약방을 찾는 손님이 줄었다"며 "하지만 한약은 몸을 보신해주는 것이 아니라 병의 근원을 해결해준다"고 말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