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경 지역 내 최적 부지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일부 단위사업에서 제동이 걸릴 경우 광역경제권역 형성에도 여파를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의 시선이 나오고 있다. 이에 차후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맞물려 실현 가능한 계획으로 궤도 수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대전·세종 공동물류단지 조성은 대전시가 제안한 사업이다. 지난해 3월 공동물류단지 입지 후보가 대전 유성구 신동과 세종 금남면으로 압축했지만 '부적절 입지'로 결론 났다. 그 후로 사업은 조성 가능한 최적지를 찾지 못했고 결국 잠정 보류되면서 올스톱 상태다.
대전시 관계자는 "공동이기 때문에 두 지역의 접경지역을 거론했는데, 향후 통합한다면 이곳이 중심 도심지가 된다. 또 신동과 금남면은 과학의 색이 짙은 대덕특구 인접 지역이기 때문에 트럭이 도심으로 들어와야 하는 물류단지 특성상 토지 효율성도 떨어진다고 분석됐다"고 잠정 중단 과정을 설명했다.
대전시는 잠정 보류한 현 상황에서 물류단지 조성 방향 수정이 필요하다고 봤다. 물류기능만 넣으면 장기적으로 님비현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과거와 달리 산업단지와 물류기능을 융복합하는 추세라는 점을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장기적으로 대전과 세종시의 통합을 그려봤을 때 최적지를 찾는 것은 난제로 경제자유구역 우선 지정 후 산업단지 조성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대전시와 세종시는 각각 1억씩 용역비를 매칭해 경제자유구역 용역을 진행 중이다. 시에 따르면 9월 착수보고회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 유치를 위한 기본 계획을 만들고, 향후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기반 조성이 핵심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우선 기본계획과 밑그림이 나와야 그 후 단위사업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우선순위를 고려해도 현재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더 크다. 공동물류단지 조성은 그 후 논의가 가능할 것 같다"고 전망했다.
한편 대전시와 세종시가 제안한 협력사업 32개 중 교통 분야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 대덕특구~금남면 광역도로 건설, 철도교통망 구축, 세종~대전 연결 대안도로 개발, 광역버스 노선 확대 등을 구체화 하며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