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모두 대선 후보를 아직 확정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공약 제안은 시기상조지만, 연내 마스터플랜을 확정하면 '과학수도' 대전을 대표하는 첫 번째 현안으로 꼽히기 때문이다.
대덕특구는 지금 체질 개선 중이다. 2023년 설립 50주년을 앞두고 생태계와 공간 활성화를 중심으로 대전시가 2018년부터 선도사업(융합연구혁신센터 조성, 마중물 플라자 조성, 테마형 스마트시티 조성)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폐쇄적이고 독립적인 연구기관이라는 고질적인 태생적 한계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으로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의 시발점이 됐다고 볼 수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대덕특구가 대전의 3분의 1 정도를 점유하고 있지만 50년 동안 대전을 위해서 무엇을 해줬는가를 생각해보면 의문점이 든다. 이에 대전시는 2023년을 기준점 삼아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를 정부에 건의했고, 올해 4월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계획을 최종 확정했다"고 설명했다.
재창조 사업은 중앙정부 주도에서 지자체 주도로 바통을 교체한다. 이는 지자체와는 담을 쌓았던 출연연구기관이 지역과 적극 협업하고 상생발전을 고민할 수 있는 변화의 토대를 마련한다고 볼 수 있다. 함께 미래 먹거리를 찾고, 미래 일자리를 주도해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혁신클러스터의 전초기지를 만드는 것이 핵심 과제인 셈이다.
KAIST쪽에서 바라본 대덕특구 모습. |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은 추진위원회(거버넌스)-운영위원회-워킹그룹(4개)이 주도하는데, 이 가운데 핵심 조직인 추진위 구성을 완료하지 못했다. 운영위원도 10명 내외로 구성은 했지만 확정은 아니다.
대전시 관계자는 "운영위원회가 지난 12일 처음 열렸다. 실질적으로 마스터플랜에 담아야 하는 과제가 34개로 좁혀졌는데 이걸 4개의 워킹그룹에서 단·중·장기 플랜으로 분류했고, 예산 확보와 기술사업화를 논의하기로 했다. 운영위는 곧 확정할 예정이고, 재창조 추진위는 내달 킥오프 한다"고 했다.
다만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이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대선 공약에 포함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조(兆) 단위의 막대한 예산 투입이 예상되고, 수십 개의 기관을 움직일 때 중앙부처가 주도하는 것이 실효성이 높다는 이유다. 장기적으로 대전시가 주도하겠지만, 전국 5개 특구 가운데 모범적인 모델링화를 위해서라도 정부가 뒷받침 역할을 해줘야 하기 때문이다.
김명수 대전시 과학부시장은 "출연연도 적극 협조하고 있고 각 부처와 함께 재창조 사업을 그려내고 있다. 추진위와 운영위원회에도 부처와 연구기관의 주요 직급 인력을 포함할 예정이다. 과학수도 대전이 주도하는 대덕특구 재창조의 종합계획을 만들어 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전시는 연내 또는 내년 초에는 마스터플랜을 확정해 공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