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리포트2021⑥] 대전 성매매 업소 수 전국에서도 '최다' 겸업형·맥양집 여전히 영업중

[도시재생리포트2021⑥] 대전 성매매 업소 수 전국에서도 '최다' 겸업형·맥양집 여전히 영업중

  • 승인 2021-08-15 09:15
  • 수정 2021-08-24 11:01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20210812010002548_1

 

 

 

업소 수는 오히려 증가, 종사자 수 소폭 감소

대전 101곳 수도권보다 많아... 파주보다 3배

 

대전역세권 성매매 집결지의 역사는 무려 100년이다. 성매매 집결지의 태동이 대전의 역사와 동시에 시작됐다는 것은 썩 유쾌한 과거사는 아니다. 1920년 이후 철도관사촌이 자리 잡으면서 현재 동구 중동 10번지, ‘춘일정’ 일대에 유곽이 생겨나기 시작한다. 이후 군부대가 주둔하던 대전역 중심으로 1970~80년대 무렵은 성매매 집결지의 호황을 누리던 시기였고, 현재까지 대전역의 어두은 그림자로 남아 있다. 대전세종연구원이 2020년 조사한 대전 성매매 집결지 실태조사 현황을 살펴보면, 집결지 폐쇄가 쉽지 않은 문제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집결지 업소 수는 줄지 않고 오히려 증가했고, 종사자 수도 오히려 증가했다.  

대전세종연구원 2020 성매매집결지 실태조사
자료 출처=대전세종연구원 2020 성매매집결지 실태조사.
2010년 업소 수는 70곳, 2013년 68곳으로 소폭 줄었지만, 2016년 81곳으로 급증한다. 그러나 2019년에는 오히려 103곳으로 많이 늘어났다.

여성 수는 2010년 80~100명, 2013년 150명~200명, 2016년 200명, 2019년 150명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지표에는 반영되지 않은 미등록 업소와 여성들이 더 있을 것이라는 게 활동가들의 얘기다. 또 다른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속칭, ‘밥집’ 형태가 존재하는 데, 이곳은 성매매 전후 이용하는 대기 공간이다. 이곳은 단속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21년 3월 기준 경찰청이 발표한 전국 성매매 집결지 현황을 봐도 대전의 업소 수는 단연 압도적이다. 서울 영등포는 업소 39곳, 종사자 116명, 미아리는 79곳, 148명이다. 부산 완월동은 10곳에 종사자 120명이고, 대전은 101개 업소에 120명의 종사자로 나타났다. 수원은 71곳, 200명, 파주 용주골은 35곳, 종사자 70명이다.

대전의 성매매 집결지가 대전역세권에 집중된 건 사실이지만, 전 지역에 분포돼 있다. 2019년 여성인권티움과 여성인권지원상담소 느티나무, 대전여성자활지원센터 시민단체가 펴낸 '이건 내 싸움이다, 대전 반성매매활동을 말하다'를 보면 대전의 성매매 실태를 엿볼 수 있다.



2019년 기준 5개 자치구에 있는 유흥주점은 293곳, 단란주점 321곳, 숙박업소 801곳, 안마업소 136곳에 달한다. 성매매 집결지는 성매매가 영업의 주된 목적인 업소가 10개 이상 밀집된 지역을 말하고, 술이나 커피, 이발, 안마 등 합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2차 형태로 성매매를 알선하는 겸업형 집결지는 동구 용전동과 서구 둔산동, 유성구 봉명동, 대덕구 신탄진동에 모여 있다.

2021년 3월 기준 전국 성매매집결지 현황
자료출처=경찰청. 2021년 3월 기준 전국 성매매집결지 현황.

일반음식점으로 허가를 받아 영업하는 ‘맥양집’은 2012년 대덕구청이 대대적으로 단속으로 대로변 업소는 전업이 이뤄졌으나, 후면골목 맥양집은 여전히 영업 중이라고 했다.

월평동에는 자유업종 밀집지역이다. 별도의 영업신고나 등록 없이 운영이 가능한 자유업종임을 앞세워 마사지와 휴게텔, 귀청소방, 멀티방, 허브방, 인형 방 등의 간판을 걸고 유사 성매매 영업을 하는 업소가 밀집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지역 반성매매 활동가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발전으로 오프라인에서 이뤄지던 성매매 알선은 온라인으로 상당수 이동했다"며 "대전이 이렇게 성매매 집결지의 중심지가 된 건 전국적으로 접근하기 쉽다는 지리적 것도 이유 중 하나"라고 현실을 토로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